뉴욕증시가 악화된 경제지표에도 불구하고,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세로 마감했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9.78포인트(0.28%) 오른 10,710.55를기록했다.
S&P500지수는 2.78포인트(0.24%) 오른 1,148.46로, 나스닥지수도 8.84포인트(0.38%) 상승한 2,316.74로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 상무부는 최대 소비 시즌인 작년 12월 소매판매가 전월에 비해 0.3% 감소해 3개월 만에 다시 하락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당초 시장예측 전문기관들은 12월 실적이 0.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실제 발표치는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수당 신청자를 기준으로 한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자 수도 2주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1월4일∼9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 수가 44만4000 명으로 한 주 전에 비해 1만1000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당초 애널리스트들은 3천 명 증가를 예상했다.
그러나 실업수당을 받고 있는 전체 실업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세를 살필 수 있는 4주 평균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의 경우 작년 8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져 악재로서의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오히려 장중 발표된 11월 소매재고는 제조업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지난 11월중 기업들의 판매가 2% 증가한 가운데 재고도 0.4% 동반 증가했기 때문이다. 통상 경기가 위축되면 판매와 재고가 동반 감소하지만, 경기확장 때는 판매가 늘고, 수요에 부응해 재고도 증가한다.
또한 4분기 어닝 시즌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특히 장 마감 후 실적발표가 예정된 인텔에 대한 기대감으로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