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중국경제 포커스) 中 '출구찾기'…글로벌 금융시장 휘청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1-21 16: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대출 제한 등 잇딴 긴축조치 조기 기준금리 인상설 확산 세계경제 회복 발목 우려

중국이 잇따라 긴축조치를 내놓자 전 세계 금융시장이 충격에 휩싸였다. 유동성이 제한돼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되면 세계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중국 금융규제당국은 최근 일부 시중은행에 대출을 제한하라고 지시했다. 올해 신규대출 규모도 7조5000억 위안(1조1000억 달러)으로 지난해에 비해 22% 축소했다. 자산거품과 인플레이션 등 경기 과열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조치다. 

   
 
中 신규착공(좌)-부동산 가격 등락률 추이
                                                (출처:WSJ)
앞서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12일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2008년 12월 낮췄던 지준율을 원상태로 되돌린 것이다. 인민은행은 1년물 국채 금리도 이달 들어 두 차례나 인상했고 21일에는 3개월물 국채 금리도 0.04%포인트 올렸다.

중국이 잇따라 유동성 공급 제한조치를 취하자 기준금리 조기 인상설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과 홍콩에서는 인민은행이 22일 기준금리를 0.27% 인상키로 했다는 보도도 흘러나왔다. 그 여파로 20일 글로벌 금융시장은 심하게 요동쳤다.

미국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1%포인트 이상 하락했고 영국 런던증시 FTSE100지수도 1.67% 내렸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3% 가까이 급락했다. 프랑스 파리증시와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주요지수도 2% 이상 추락했다.

외환시장도 영향권에 들었다. 미국 달러화 가치가 뛰면서 유로/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3% 하락했다. 6개국 주요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도 하룻새 1.1% 올랐다.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도 0.05%포인트 하락했다.

금융시장이 이처럼 민감하게 반응한 건 중국이 세계 경제 회복의 열쇠를 쥐고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중국 경제는 올해 무려 8.7% 성장했다. 세계의 공장에서 최대 소비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기대감이 클 수밖에 없다.

문제는 중국 경제의 성장판이 다름 아닌 막대한 유동성이라는 점이다. 유동성 공급이 제한되면 중국의 성장세도 한풀 꺾일 수밖에 없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1일 중국의 긴축조치가 국가부도 위험을 야기한 그리스사태만큼이나 세계 경제의 위협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앨버트 에드워즈 소시에테제네랄 국제투자전략가는 "중국 정부가 최근 취한 유동성 제한 조치는 첫걸음에 불과하다"며 "시중 유동성이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중국 정부는 조만간 본격적인 긴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유동성 공급에 따른 성장통은 곳곳에서 드러난다. 지난해 12월 중국 소비자물가는 1년 전에 비해 1.9% 올랐다. 11월(0.6%)에 비해 1.3%포인트나 뛴 것이다.

부동산 거품도 급격히 팽창하고 있다. 지난해 11~12월 중국의 신규 착공 건수는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75% 늘었다. 주거지역 땅값은 연율 기준 20% 올랐다. 고급 주택가격 상승폭은 그 이상이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해 중국 시중은행의 신규대출액은 9조6000억 위안에 달했다. 2008년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추세가 올해도 계속 이어진다면 올해 신규 대출액이 30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가 올해 신규 대출 제한폭으로 삼은 7조5000억 위안의 4배에 이르는 액수다. 올 들어 2주새 중국 시중은행의 신규 대출액만 1조100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닥터둠'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도 CNBC와 인터뷰에서 중국이 긴축정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대출확대 등 중국이 펴온 경기부양책이 너무 과도해 경기과열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은 경기부양책을 통해 (유동성이라는) 괴물을 풀어놨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며 "이젠 괴물을 가둘 때가 됐다"고 말했다.

루비니는 특히 "중국이 건강하고 오래갈 성장 가도를 달리려면 직접적인 신용통제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중국의 긴축정책이 금융자산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데도 글로벌 금융시장이 너무 과잉반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