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업계가 자동차 정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보험료 인상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급등하는 손해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정비 비용 절감이 꼭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손보사들이 기존 정비업체가 요구하는 수가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공동 정비소를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표준이 되는 정비소를 만들어 정비 원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라며 "공동 정비소에서 적정 수가를 산출하면 정비업체와 수가 인상폭을 놓고 다툴 일이 줄어들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손보사들은 주요 거점 지역에 '토털 서비스 센터'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보험사가 정한 우량 정비업체 및 렌터카 업체를 이용하지 않는 데 따른 비용 누수를 막기 위한 조치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정비업체나 렌터가 업체가 보험사에 청구하는 비용과 일반 고객에게 받는 요금을 다르게 산정하는 경우가 많다"며 "현대차 쏘나타의 경우 보험사가 비용을 지불하면 15만원을 받지만 일반 고객은 그 절반 가격에 대여해주는 이중 가격제를 운영하는 곳이 많다"고 지적했다.
입원률을 낮추기 위해 충격과 신체 손상 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독일의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비업체들은 가뜩이나 낮은 정비수가를 추가로 깎으려는 꼼수라며 반발하고 있다. 손보업계와 정비업체들은 정비수가 인상폭을 놓고 1년 가까이 대립하며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서울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 관계자는 "현재 정비수가가 비현실적으로 낮기 때문에 보험업계가 정비 원가를 분석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현대차는 제휴 정비업체에 시간당 공임 2만7000~2만8000원을 인정해주는 데 반해 보험사가 인정하는 정비수가는 1만9000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서울·경기·인천의 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은 성명을 통해 "손보사들이 보험금 지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자동차 재활용 부품 활용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정비수가 인상만 거론되면 보험료 인상 요인이라고 반대하는 것은 문제"라며 "손해율을 낮추기 위한 업계 자구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