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인해 금호타이어 협력사들의 경우 당초 채권단에서 지급할 1000억여원의 자금줄이 끊기면서 조업차질 및 임금체불 등 피해가 커지고 그 불똥은 2,3차 협력업체까지 번지고 있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11일 오후 임금 및 단체협상 4차 본교섭을 열고 인위적인 구조조정 대신 명예퇴직과 단계적 도급화 추가안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회사측은 채권단과 당초 협의한 회사정상화 방안을 조기추진키위해 고강도 구조조정서 한발 물러나는 유화책을 내놓았으나 노조는 40%에 달하는 임금삭감 규모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노조측은 "회사의 제시안은 모든 비용을 임금 삭감으로 해결하겠다는 뜻이며 조합원들의 급여가 40% 정도 깎이는 결과가 된다"며 "결국 조합원들의 일방적 희생을 담보로 하는 것이어서 조합원 사이에 거부여론이 높다"고 말했다.
회사측이 한발 물러난 구조조정안을 제시했음에도 불구, 노조가 이를 수용치 않고 설 연휴 이후 5차 협상을 다시 제안하자 채권단측은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채권단 측은 여전히 노조동의서 없이 자금 집행이 어렵다는 원칙을 고수하면서 당초 제시한 자금지원이 어렵게 되자 그 피해는 고스란히 협력업체들에게 돌아가게 됐다.
이처럼 노사 간 입장차로 금호그룹의 구조조정 일정이 지연되자 재계에서는 노조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재계 일각에선 구조조정안에 협력하기보다 차라리 '법정관리'를 택하겠다는 노조측의 집단 이기주의 태도가 문제라고 지적한다.
재계 관계자는 "최근 발생했던 쌍용차를 비롯해 여러 기업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구조조정 막판에 노조가 찬물을 끼얹어 회생할 수 있는 회사가 주저앉는 경우가 많았다"며 "금호타이어 노조는 이같은 사례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집단 이기주위 행보를 멈추고 조속한 구조조정을 통해 조속히 회사 정상화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금호타이어가 두 달째 월급을 지급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200여개에 이르는 협력업체들은 채권단의 긴급 자금 지원 차질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협력업체 중 20여 업체는 납품대금을 받지못해 은행 대출금을 상환치 못하고 있으며 원자재 구입자금이 없어 정상조업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한편, 금호산업 노조는 금호타이어와 달리 구조조정 동의서를 제출해 지난 10일 채권단으로부터 1800억원을 긴급 수혈받아 급한 불은 끈 상태다.
이에 대해 금호그룹 관계자는 "채권단에서 10일 금호산업에 1800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금호산업은 우선적으로 협력업체에 지급한 어음 등을 결재할 예정이며 지난달 지급치 못한 직원들의 임금도 우선적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아주경제= 이미경 기자 esit91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