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본사를 둔 한국거래소의 비효율적인 운영체계 개선 필요성에 대한 증권유관기관 및 금융투자업계의 공감대가 이뤄지고 있다. 거래소 민영화를 통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23일 아주경제신문이 지난 16일부터 전날까지 실시한 한국거래소 본사 이전 및 민영화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수가 각 질문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사를 서울로 이전해야 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 응답자는 전체 ?명 중 ?명으로 ?%를 상회했다.
업무 협의 대상이 대부분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데 반해 거래소 본사는 부산에 있어 업무 의사결정을 하는 데 시간 및 비용 낭비가 필연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신속한 업무 처리에도 비효율적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부산에 있는 파생상품시장본부와 경영지원본부 관련 실무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다.
한 선물사 관계자는 "본사가 부산에 있어 통상 1박2일 출장 일정을 잡아야 한다는 데 대한 부담이 크다"며 "평상시 거래소 관계자와 상의할 일이 있어도 서울 및 부산 출장이 잦아 미팅일정 잡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거래소 본사를 서울로 이전하고 부산 본사는 사무소 형태로 운영하거나 증권관련 연구기관으로 활용하는 방법 등이 제기됐다.
반면 현 시점에서의 본사 이전은 오히려 예산낭비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또 부산지역의 금융경제 및 지역 사회 발전 측면에서도 본사 위치를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에는 대부분 업무가 전산화 돼 있어 지리적 차이에 따른 큰 문제는 없는 것 같다"며 "다만, 서울과 부산에 각각 이원화된 업무를 한 곳으로 통일해 효율성을 높일 필요는 있다"고 전했다.
거래소 민영화 필요성에도 대부분 응답자가 동의했다. 설문조사 응답자 총 ?명 가운데 ?명(?%)이 민영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국제 경쟁력 및 회원 서비스 제고가 이유로 꼽혔다.
각종 경영 활동이 정부의 감독을 받게 돼 국제 경쟁력 저하 및 각종 추진 사업이 지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주요주주인 증권사 등의 주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공공기관화 해 사유재산권이 침해됐다는 언급도 있었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거래소가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사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서는 유례가 없는 일"이라며 "적절한 구조조정을 거쳐 거래소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영화가 거래소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지적도 나왔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지배구조 차원에서 이사진 구성, 임직원에 대한 고객서비스 , 글로벌 경쟁력 제고는 민영화와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다"며 "오히려 공공기관 지정된 이후 조직이 쇄신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감사원 감사, 국회 국정감사 등 처벌 위주의 감사가 지속될 때 업무 혁신 등 효율성보다는 무사안일 기조가 재현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