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금년도 폐·공가 정비사업 및 환경정비사업을 3월 초부터 추진한다.
부산시는 이를 위해 총 857동의 정비사업비 54억원을 각 자치구에 배정하고 3월초부터 공사에 들어간다고 2일 밝혔다.
폐·공가 정비사업은 정비구역 내 163동 및 정비구역 외 142동 등 총 305동에 걸쳐 이뤄진다. 정비기금 16억원과 일반예산 14억원 등 총 3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정비 동수 별 950만원 기준으로 각 자치구별 사업비로 배정된다. 도시미관을 현저히 저해하고 안전을 위협받는 폐·공가부터 우선적으로 소유자와 협의한 후 철거 및 폐기물 처리, 부지정리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정비사업은 정비구역 내 552동에 걸쳐 이뤄지며 정비기금 24억원을 활용한다. 노인·장애인·소년소녀가장 등 극빈자 소유·거주 주택을 우선순위로 하며, 구조안전·생활불편해소·미관개선 등을 위해 동별 600만원을 지원한다. 기장군과 강서구를 제외한 자치구 별로 각 1억 원씩 총 14억원을 우선 지원하고, 향후 실적 우수 자치구에 대하여 추가 지원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추진될 폐·공가 정비사업 자치구별 대상 및 지원금액은 중구(35동, 3억4000만원), 서구(55동, 5억 5500만원), 동구(40동, 3억9000만원), 영도구(25동, 2억5000만원), 부산진구(49동, 4억7100만원), 동래구(4동, 4천만원), 남구(25동, 2억4400만원), 북구(5동, 5000만원), 해운대구(5동, 5000만원), 사하구(32동, 3억2000만원), 금정구(7동, 6800만원), 연제구(9동, 8700만원), 수영구(5동, 4800만원), 사상구(9동, 8700만원) 등이다.
한편 부산시는 작년, 폐·공가 정비사업 50억원 및 노후건축물 환경정비사업 10억원 등 총 60억원의 정비기금을 투입하여, 시민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439동의 폐·공가를 철거하고 351동의 노후건축물 환경정비사업을 완료하였다.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 leejh@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