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14시48분에 표출된 기사와 관련, 재정부가 위안화 절상 문제는 G20 개별 의젠다에 포함 안된다고 수정요청을 한 부분 등을 반영>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기준금리를 인상할 시점이 아니라는 게 정부의 확고한 생각"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출구전략 시점과 관련된 질문에 "조심스럽고 균형잡힌 접근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연초에 경제지표가 약간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한파와 폭설 등 일시적이고 계절적 요인에 기인했다"고 설명하고서 정부가 당초 예상한 올해 5% 내외 경제성장률과 150억 달러 경상수지 흑자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윤 장관은 다만 "민간 자생력이 본격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고용 문제는 대단히 심각해 당면 최대 과제가 되고 있다"며 금융부문의 출구전략과 내수확대를 병행하는 중국식 모델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급준비율 인상, 대출 규제 등으로 출구전략을 시행하면서 내수확대를 통한 성장 전략도 병행하고 있는 것 같다"며 "우리도 선택하라면 중국처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적 무역불균형 해소문제와 관련, "무역수지 흑자국과 적자국 문제는 동서양 간에 상당한 논쟁이 있다"며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나 정상회의에서도 이런 부분이 논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개인적 견해로는 각국 지도자가 모인 가운데 이런 부분에 납득할 수 있는 합의가 지속적으로 이뤄지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발전할 것"이라며 "중국 위안화 절상문제는 우리도 주의 깊게 보고 있고 출구전략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유럽발 재정위기와 관련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경제로 보면 유로사태가 크게 영향을 미치거나 제2 세계금융위기를 초래하는 정도로 악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달러화 위상 문제와 관련, "내가 보기엔 아직은 세계기축통화로서 달러를 대체할 통화를 찾아보기 힘들다"며 상당 기간 달러는 세계 기축통화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한국내 자본유출 제한 등 금융규제 필요성에 대해 "G20 회담에서 자본유출 및 규제 등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고 한국도 그런 흐름에 맞춰 정책을 할 것"이라며 "우리는 자본유출에 대해 개방과 경쟁의 원칙을 유지할 것이다. 단기간 어려움이 있더라도 원칙에서 벗어나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일부 외국 언론 서울 특파원들은 윤 장관에게 룸살롱, 접대 등의 단어를 사용하면서 한국의 직장 문화를 빗댄 질문을 해 참석자들의 눈총을 샀다. 재정부 한 관계자는 "저널리스트로서 합당한 질문이 아니지 않느냐"고 불쾌감을 표했다.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sh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