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적 투자자가 저금리 시대에 이자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재테크 방법이 제시됐다.
삼성증권은 9일 '저금리 시대를 정면 돌파하는 보수적 투자자의 5가지 재테크 계명'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다다익선(多多益善) ▲선수교체(選手交替) ▲분리수거(分離收去) ▲대안투자(代案投資) ▲세후수익(稅後收益)을 재태크 5계명으로 꼽았다.
단, 저금리 기조가 당분간 변하지 않는 다는 것을 가정했다.
김도현 연구원은 무엇보다 연간 이자 지급 횟수가 많은 상품(다다익선)을 추천했다. 원금은 보호하면서 이자를 활용해 다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한푼의 금리가 아쉬운 상황에서 장기적인 초과 수익이 기대되는 자산군이 존재한다면 이자를 재투자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전략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은행 예금보다 채권 투자에 관심을 둘 것을 권했다. 선수교체를 단행하라는 이야기다. 은행예금은 가입 후 금리가 변해도 약정된 금액 대비 원리금이 늘어나지 않는다. 반면 채권투자는 시장금리가 하락하면 가격이 상승한다. 금리가 하락 시 중도 매도를 통해 차익을 남기는 전략이 가능한 것.
또 장·단기 투자자금 분리를 철저히(분리수거)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여유자금 5000만원을 세전 수익률 4.5% 만기 1년 정기예금으로 5년간 운용할 경우 만기 수령금액은 세전 기준 6230만원에 그치지만, 이를 세전 수익률 5% 지역개발채권에 장기투자하면 만기시 6380만원을 상환할 수 있다.
아무리 보수적인 성향의 투자자라도 자산의 일정부분은 투자 원금을 보존하는 수준에서 초과 수익을 추구하는 편(선수교체)이 바람직하다는 이야기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확정금리형 자산만 운용하는 전략은 자제하고 최근 금융시장에서 주목을 받는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 파생결합증권(DLS)도 고려할 것을 권했다. 실질 금리가 1~2%에 불과한 만큼 원금이 보장되는 대안투자 전략을 염두해 두라는 설명이다.
그는 마지막으로 모든 수익률 평가 기준은 세후 수익률임을 상기하고 절세 상품이나 가입을 검토중인 보험상품에 대한 수익률을 꼼꼼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보험상품은 장기보장 필요성과 오랜 기간 자산을 운용할 의사가 있을 때 가치가 빛난다"며 "그러나 초기에 많은 사업비가 들어가고 유동성이 제약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뚜렷한 보장이나 절세의 필요성이 없는데도 저축 가능한 자금 대비 지나치게 많은 보험상품에 가입하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