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폐암 발병 초기 원인을 규명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배석철 충북대 의과대학 교수팀이 폐암 발병의 초기 원인이 렁스3(RUNX3) 유전자의 불활성화에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렁스3 유전자는 암의 발병을 억제하는 유전자로 배 교수가 지난 1995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이번 연구에서 배 교수팀은 렁스3 유전자 기능이 절반으로 줄어든 유전자 결손 생쥐의 85%가 폐암에 걸린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렁스3이 완전히 제거된 유전자 결손 생쥐의 폐에서는 폐 상피세포를 형성하는 줄기세포의 분화가 정지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폐암의 조기진단과 치료법 개발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의 권위 있는 과학잡지 네이처 출판그룹이 발행하는 암 관련 전문학술지 '암유전자(Oncogene)' 4월호에 게재된다.
아주경제 김명근 기자 diony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