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수 HB파트너스 대표 |
개인들도 자기 돈보다 남의 돈으로 레버리지 효과를 활용해 부동산 투자를 하거나 장사를 해서 성공하면 마치 대단한 사람으로 여겨지곤 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개인이나 기업은 물론 국가도 남의 돈 때문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향후 국내외 경제를 위협하는 시한폭탄으로 돌변했다.
최근 한국은행이 국내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50%를 넘었다는 통계를 발표했다.
이는 미국(129%)이나 캐나다(150%)보다 더 높은 수치로 2005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지속된 저금리 기조와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한 주택담보대출 증가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의 경기 불황으로 생계형 부채가 증가하고 있다.
1인당 개인 부채도 1754만원 명목 국민총소득(GNI) 2192만원의 80%를 넘어섰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크게 하락하거나 금리가 인상된다면 가계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저소득 계층의 부담이 훨씬 크다는 것이다. 하위 20%의 원리금 상환부담은 28.3%로 전체 평균 11.7%를 크게 웃돈다. 소득이 높아질수록 부채도 많지만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은 저소득 계층이 더 많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최근 글로벌 경제의 애물단지로 전락한 남유럽은 그 심각성을 반증한다.
그리스 등 유럽 지역만 2300억 달러, 미국과 일본까지 포함하면 채무 규모는 3000억 달러에 달한다.
당장 약 200억 유로(약 270억 달러)의 급전을 조달하지 못하면 국가 부도를 피하기 어려운 그리스 외에도 이탈리아와 스페인,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불량한 친구 곁에 있으면 덩달아 불량해지는 것처럼 그리스 인근 국가인 독일과 프랑스에 대한 리스크도 고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안전 지대는 아니다. 기획재정부의 올해 '국가채무관리계획'을 살펴보면 국고채 상환액은 29조7000억원으로 정부 총수입(287조원)의 10%를 초과하고 있다.
국고채 상환액은 2011년(42조3000억원) 2012년(38조원) 2013년(32조5000억원) 2014년(43조5000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국가부채 만기가 다른 나라보다 훨씬 짧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와 기업들이 미리 준비하지 못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 우리나라만 잘해서 될 것도 아니다. 전 세계가 어려움에 처해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도 구조 요청(SOS)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개인이나 기업, 국가 모두 건전성에 초점을 맞춰 재무 운영 전략을 세워야 한다. 특히 개인들은 신용카드와 대출의 만기 도래 및 이자율 등락에 따른 영향 등을 재점검해야 한다./HB파트너스 대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