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매출 150조 영업익 16조 '청신호'


삼성전자가 올해 매출 150조원, 영업이익 16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커졌다. 국내 어떤 기업도 달성해 보지 못한 대기록이다.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에 비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 같은 전망에 힘이 실렸다. 

6일 삼성전자는 1분기 예상 매출과 예상 영업이익(연결기준)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6%와 628.8% 상승한 34조원, 4조3000억원이라고 밝혔다. 반도체의 선전이 1분기의 실적 호조를 이끌었고 LCD, 통신, 디지털미디어 등 모든 사업부문에서 견고한 실적을 보인 덕분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올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구조를 반도체 50%, 통신 25%, LCD와 디지털미디어에서 25%로 이루어진 황금분할을 이룰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구자우 교보증권 연구원은 “1분기 연결실적의 호조는 반도체의 선전 때문”이라며 “1분기에는 일반적으로 세트분야의 매출이 저조한 시기인데 부품에서 이를 받쳐줬다”고 분석했다. 구 연구원은 이어 “매출의 모멘텀은 (결국) 세트분야에서 나오는데 세트분야는 2분기부터 매출이 상승해 4분기에 정점에 오른다는 것을 감안하면 올해 삼성전자는 16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재계 한 관계자는 “올해 국내 민간 건설부문은 총 수주예상금액이 16조원 안팎이고, 국내 퇴직연금 시장규모도 그 정도”라며 “국내 기업이 제조업으로 16조원의 수익을 올린다는 것은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라고 의미를 달았다.

이 같은 영업이익 달성 전망에 걸림돌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이 변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연간 전세계 휴대폰 시장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10% 이상 성장할 것”이라며 “삼성전자가 급변하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어느정도 성과를 내게 될 것이지에 대한 전망이 불확실한 것은 문제”라고 설명했다.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이 공급증가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정전환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의 지속을 누구도 의심하지 않는 것과는 상반된다. 또 LCD부문 역시 3분기 중반 이후 공급부족이 다시 시작되면서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이고 보면 하반기 삼성전자가 통신시장에서 어떤 대응을 할 것인가가 주목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미 올해 150조원 이상의 매출목표를 간접적으로 밝힌바 있다. 지난달 19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최지성 사장이 올해 매출목표와 관련해 전년 대비 두 자리 수 성장을 언급한 것이 그것이다. 지난해 매출이 136조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150조원 이상은 달성하겠다는 각오로 받아들여졌다.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lazyhand@naver.com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