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6일 천안함 침몰과 관련, "북한의 관련성 유무를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원 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에 출석, 이같이 보고한 데 이어 "천안함 침몰사고를 전후로 북한의 특이 동향은 없었다"고 말했다고 정보위 간사인 한나라당 정진섭, 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전했다.
특히 원 원장은 "만약 북한이 연루됐다면 해군부대나 정찰국 단독으로 한 것은 아닐 것"이라며 "이 정도의 일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승인 없이는 할 수 없으며, 이번에는 이와 관련한 특이한 동향이 없었다"는 취지로 보고했다고 복수의 정보위원이 전했다.
국정원측은 비공식 루트를 통해 입수한 정보임을 전제로 "북한 인사들 사이에서도 '북한 연루는 북한 내부를 잘 모르고 하는 소리', '어떤 부대가 했다' 등 이런저런 말이 나온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원 원장은 "중국 당국도 천안함 침몰과 북한의 관련성에 대해 의혹을 가지기 때문에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한 정보위원의 질문에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 원장은 "침몰 원인을 확실히 하려면 파편 등을 확인해 봐야 하며, 이는 국방부 소관"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원 원장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 시기와 관련, "이번 방중 시기(4월9일 이전)를 놓치면 4월25∼28일 정도에나 다시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국정원측은 김일성 주석의 생일(4월15일)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해외방문 일정 등을 감안, 이 같은 판단을 하면서도 "이 때 간다는 정보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