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포스코는 포항 영일만항 배후산업단지 내 만 3천m2 부지에 12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100MW의 연료전지 스택제조공장의 착공식을 가졌다. 공원식 경상북도 부지사, 이병석 국회의원, 김영학 지경부차관, 정준양 포스코 회장, 이상득 국회의원, 윤정용 포항시부시장(왼쪽부터)/포스코 제공 |
포스코가 신성장동력 사업에 속도를 내며 저탄소 녹색성장 글로벌 선두기업에 한 걸음 다가섰다.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설비인 스택제조공장을 착공, 연료전지 국산화를 완성한 것이다.
포스코는 7일 포항 영일만항 배후산업단지에서 연료전지 스택제조공장의 착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 공장은 4만3000m2 부지 규모 내 12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을 생산한다.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은 크게 연료공급과 전력변환을 담당하는 BOP(Balance of Plant)와 전기를 생산하는 스택(Stack)으로 구분된다. BOP공장은 지난 2008년 이미 가동됐다.
포스코는 의무할당제(RPS)가 본격 시행되는 2012년부터는 한전 등 발전사들의 연료전지 도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2012년까지 기존 디젤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는 비상전원용 연료전지와 건물 내에 설치해 전기와 열을 제공하는 건물용 연료전지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 2015년에는 대형선박의 보조동력으로 사용할 선박용 연료전지를 출시해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이날 기념사에서 "연료전지 국산화와 실용기술개발, 국내 부품소재 공급사 개발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착공식에는 김영학 지경부차관, 이상득·이병석 국회의원, 공원식 경북부지사, 윤정용 포항부시장, 정준양 포스코 회장 등 관계자와 주민이 참석했다.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 란?
에너지사업자에게 공급량의 일정비율을 신재생 에너지로 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아주경제 이정화 기자 jh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