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한국환경공단은 중국 현지에 청정개발체제(CDM) 운영기구 지사를 설립한다고 26일 밝혔다.
CDM 운영기구는 UN을 대신해 CDM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온실가스배출 감축량을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중국은 전 세계 CDM사업의 33.9%, 저감권(CERs) 총량의 50.5%(1억6000만t)를 차지하는 최대 CDM 시장이다.
공단은 중국 지사를 통해 CDM 검인증 시장을 넓히는 한편 검인증 사업의 현지 적응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포스트 교토체제 아래 활발한 배출권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시장은 협소한 편이다.
현재 국내에 추진 중인 CDM사업은 72건에 불과하지만 공단을 포함하여 운영기구는 약 9개에 달한다.
이 때문에 해외 시장 다각화 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공단은 중국에서 CDM 운영기구 지사 활동이 시작되면, 타당성 조사 및 검인증 대행 수수료로 연간 20만 유로 이상의 외화를 획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공단이 보유한 기술력을 해외에 수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단 관계자는 "중국 지사의 위치는 상해, 항조우 중에 현지 여건 조사 후 지사 설립에 가장 적격한 위치를 선정할 계획"이라며 "중국의 인벤토리 검인증 등 중국 신규시장 개척에도 이바지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jjong@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