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정부가 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의 어뢰공격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천안함 침몰 원인 발표가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됐다.
기획재정부는 21일 오전 11시 30분 정부과천청사에서 천안함 침몰 원인 발표 이후 국내·외 금융시장이 받을 영향 및 향후 대응방향에 대한 점검을 위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회의를 개최했다.
이 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천안함 침몰 원인 발표 이후 국내·외 시장동향에 대해 ‘북한의 전면전 발언 등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부각되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이 상승했으나 과거 북한 관련 유사사례 등을 볼 때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데에 의견을 같이했다.
기재부는 21일 “최근의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는 남유럽 재정위기 등 국제금융시장 불안요인과 결합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과거 핵실험이나 서해교전 사례에서 경험했듯이 점차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가신용등급은 중장기적 대외지불능력에 대한 평가이므로 단기적 상황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는 앞으로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는 경우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긴장을 늦추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기재부는 “사태진전 상황에 대한 면밀한 점검을 위해 남유럽 재정위기 이후 강화된 모니터링 체계를 지속·가동할 것”이라며 “상황변화에 대비한 대응계획을 재점검하고 시장상황에 맞춰 시나리오별 대응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기획재정부와 국제금융센터는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비상금융통합상황실’을 통한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상황점검 및 필요시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관계기관 합동 대책반을 운영해 오는 23일 오후 3시 1차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leekhy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