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24일 “앞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고, 적극적 억제 원칙을 견지해 (북한이) 우리의 영해, 영공, 영토를 침범한다면 즉각 자위권을 발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전쟁기념관에서 대국민 담화를 통해 “천안함은 북한의 기습적인 어뢰 공격에 의해 침몰됐으며 이는 북한의 군사도발”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한반도 평화를 향한 간절한 염원 때문에 북한의 만행에 대해 참고 또 참아왔지만 이제는 달라질 것”이라며 “북한은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대통령은 대북 제재조치와 관련, “지금 이 순간부터 북한 선박은 ‘남북해운합의서’에 의해 허용된 우리 해역의 어떠한 해상교통로도 이용할 수 없다”며 “교류협력을 위한 뱃길이
더 이상 무력도발에 이용되도록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남북간 교역과 교류도 중단될 것”이라며 “천안함을 침몰시키고, 고귀한 우리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이 상황에서 더 이상의 교류·협력은 무의미한 일”이라고 못박았다.
이 대통령은 다만 “영유아에 대한 지원은 유지할 것”이라며 “개성공단 문제는 그 특수성도 감안해 검토하겠다”고 말해 최소한의 인도적 대북지원은 유지할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국제공조를 통한 대북제제 방안에 대해 “정부는 관련국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천안함 사태를 UN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책임을 묻겠다”며 “많은 나라들이 우리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나는 북한 당국에 엄중히 촉구한다”며 “대한민국과 국제사회 앞에 사과하고, 이번 사건 관련자들을 즉각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