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어긋나는 모든 행위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25일 밝혔다.
장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천안함 결과에 대해 명확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는 중국의 태도가 한·중 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누구든지 어떤 조치를 취할 때 해당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는지를 주의깊게 고려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동북아와 한반도의 평화 안정을 수호하는 것은 동북아 및 한반도의 공통된 이익에 부합하며 이 지역 국가들의 공통된 책임"이라면서 "중국은 사건의 옳고 그름에 따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국제 문제를 처리한다"고 말했다.
장 대변인은 "중국은 한반도 이웃국가로서 천안함 사태 추이에 매우 큰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우리는 시종일관 대결보다는 대화가, 긴장보다는 화해가 낫다고 판단하며 진정으로 유관 당사국이 냉정하고 절제된 태도로 관련 문제를 적절히 처리해 한반도의 긴장 악화를 방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장 대변인은 "이것이 바로 남북 양국의 이익과 유관 당사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은 동북아 지역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6자회담 및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 추진을 위해 일관되게 노력해 왔다"고 강조했다.
장 대변인은 '천안함 사건에 대한 한국 정부의 조사결과에 대한 평가작업은 완료됐느냐'는 물음에 "(중국의) 자체 평가에 대해선 설명할 게 없다"고 답변했다.
그는 '중국이 여전히 북한을 완충지대로 생각한다면 이는 냉전시대의 유산이 아니냐', '중국이 한국전쟁의 정전협정 당사국으로서 천안함 사태에 대해 저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기자의 잇따른 지적에는 "기자 본인의 생각이 담겨 있는 것 같다"며 "우리는 동북아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했다.
장 대변인은 천안함 사태가 마무리된 후 북·중 지도자 간의 접촉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도 즉답을 피한 채 "우리는 한국이 발표한 조사결과와 북한의 반응을 모두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의 방한과 관련, "주한 중국대사의 요청으로 간 것"이라며 "한국 측과 (천안함 사건과 북핵 6자회담 등의) 관련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말했다.
또 '우 대표가 방북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소식을 들은 것 없다"고 덧붙였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