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한나라당이 사실상 참패한 이번 6·2 지방선거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일까? 선거 직전 전문가들이 예측했던 북풍과 노풍의 영향력은 예상만큼 크지 않았고 지역 경제 현안이 가장 중요한 선거 쟁점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소순창 건국대 행정학과 교수는 3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강당에서 열린 토론회를 통해 “호남과 대구, 경북을 보면 지역주의의 현상이 이번 지방선거의 결과에도 여실히 나타났다”면서도 “여타 지역들은 지역주의 선거에서 상당부분 벗어났다고 본다”고 말해 유권자들이 정치적 선택이 아닌 실리적 선택을 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결국 과거 중앙 정치 논리에 휘둘리던 지방선거가 해당 지역 유권자들에게 선택권이 넘어갔고 국민들의 가장 큰 고민인 경제문제가 후보자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무상급식을 앞세운 야권 광역·기초단체장 후보들과 교육감들이 약진한 데에는 학부모들의 경제적 고민이 기반에 있지 않느냐는 분석이 뒤따른다.
수도권 서울과 경기를 중심으로 수도권지역에서 무상급식 공약을 앞세운 진보진영 교육감 후보들이 당선된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지역경제 현안 역시 유권자들의 표심을 가르는 중요한 이슈였다.
한나라당이 우세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인천시장에 당선된 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선거운동 기간 동안 가장 중요하게 내세운 것은 현 시장 한나라당 안상수 후보가 7조원에 달하는 빚을 졌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한 실정 심판이었다.
안 후보 측은 사실과 다르다고 맞섰지만 구체적인 반박을 하지 못한 결과 인천시민들은 송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
송영길 당선자는 당선 확정 이후 “10조원에 달하는 인천시 부채 문제와 구도심 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안을 제시하며 정책선거를 펼친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애초 크게는 20%포인트 이상 차이로 한나라당이 압승할 것으로 예상된 서울시장이 불과 0.6%포인트 차이의 접전 승부가 난 것도 선거운동 막판 한명숙 후보가 북풍문제를 경제문제로 엮은 것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한 후보가 선거일 직전 ‘현 정부의 정권 심판론’과 천안함 관련, ‘북풍’ 비판을 경제파탄으로 초점을 돌려 서민 표심을 공략한 것이 주효한 것이 아니었냐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제는 선거결과를 받아들이고 경제문제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여야는 선거결과로 나타난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선거에서 보인 관심과 열의를 경제로 돌려 회복 조짐을 보이는 국가 경제를 본궤도에 올려놓는데 힘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 역시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비상경제 대책회의에서 “지방선거 이후 정부는 다시 경제 회복과 지속 성장에 집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각 부처는 힘과 의지를 모아달라”고 말해 선거 이후 경제 문제에 집중 할 것임을 내비쳤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