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내 집 마련을 위한 실수요자라면 DTI 규제가 완화되고 세제 감면 혜택이 늘어난 내년 3월까지가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내년 상반기부터는 입주 물량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빠르면 추석이후부터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라고 조언했다. 다만 금리인상이 예상되기 때문에 대출 비중을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둬야한다고 충고했다.
닥터아파트 김주철 리서치팀장은 "내년에는 입주 물량이 올해의 절반 정도로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며 "내 집 마련을 노리는 실수요자라면 DTI 규제가 완화되고 세제 혜택이 있는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초에 매수에 나서 볼 만하다"고 말했다.
박상언 대표는 "실수요자들은 추석이후나 4분기부터 발 빠르게 매수에 나서는 것을 고려해 볼만 하다"며 "특히 전세비율이 높은 곳은 실수요가 많은 곳으로 집중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 집 마련을 준비하고 있는 수요자라면 추가하락을 마냥 기다리기보다는 추석 전후나 늦더라도 올 4분기에 급매물 위주로 노려보는 것이 좋다는 설명이다.
또한 내년에는 입주 물량이 줄어들고 부동산 대책에 대한 실효성이 나타나는 등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냥 기다리기는 기회비용이 커질 수 있다.
내집마련정보사 양지영 팀장은 "자금 여력이 있다면 최근 가격하락이 크고 시장이 호황일 때 가격 상승을 이끌 수 있는 서울 강남권·용산·성수·흑석·한강변 등의 급매물을 노려보는 것이 좋다"며 "자금 여력이 크지 않고 3년 이상 장기적으로 내다본다면 서울 합정 및 자양동 일대 한강변, 경기 용인·분당 등에 접근해도 좋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