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테마는 전세계 빈곤 퇴치를 목적으로 한 `새천년 개발목표(MDGs,Millenium Development Goals).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취임 초부터 야심차게 추진해온 MDGs는 오는 2015년이 달성 시한이지만,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이 재원 조달 공약을 제대로 이행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새로운 재원 조달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반 총장은 시한 5년을 남겨 놓은 시점에서 목표 달성을 위한 정치적 메시지를 새롭게 하고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이행 방안에 대한 합의를 원하고 있다고 측근들은 전했다.
반 총장은 지난 5월 한국 유엔 대표부가 주최한 `MDGs 달성을 위한 핵심 행동계획' 주제의 토론회에서 "MDGs는 빈곤퇴치를 목표로 하는 개발 의제일 뿐 아니라, 평화, 안보, 인권의제 등 유엔이 추구하는 제반 목표와 상호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면서 "이러한 포괄적인 사안을 논의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포괄적인 기구로서 유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금융.경제 위기 등으로 말미암아 MDGs 목표 이행 정도에 있어서 국가별로 격차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실패라고 단정 짓기는 이른 상황"이라며 "적절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이행을 통하여 가장 어려운 처지에 있는 최빈국들도 MDGs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이번 총회기간중인 20-22일 동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전세계 139개국(13일 오후 현재) 정상들이 참석하는 '유엔 새천년 개발목표 정상회의'에서 어떤 방안이 논의될지 주목된다.
정상들은 마지막날 채택될 29쪽 짜리 선언문 초안에서 현재 전세계가 직면한 금융경제위기가 가난 및 기아문제 줄이기, 성(性)평등, 보건 및 교육상황 개선 등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인정하면서, 혁신적 기금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이를 위해 적극 노력한다는 정치적 다짐을 할 계획이라고 유엔 관계자는 전했다.
이번 총회의 또 하나의 빅 이슈는 군축이다.
오는 23일 하루동안 열리는 군축 정상회의에서는 반기문 총장이 직접 개막식 행사를 주관하게 되며, 오바마 대통령과 메드메데프 러시아 대통령 등 주요 군축 당사국들의 기조연설과 `핵없는 세상'을 위한 각국의 요구와 선언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줄을 이을 전망이다.
최근 파키스탄 홍수 등 지구촌 대재앙과 관련된 인권 문제도 주요 논의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아이티 지진 피해 사태와 관련해 각국이 유엔에 약속한 기부금의 이행 정도가 12%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재건.복구 사업에 큰 차질이 빚어진다는 우려가 고조된 상황이어서 이행률 제고를 위한 대책이 집중 논의될 것이라고 유엔 외교소식통은 전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이번 총회 기간에 `재래식 무기 거래 근절을 위한 결의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2008년 통과된 결의의 진전 상황을 점검하고 미비점을 보완한 일종의 개정안 성격을 띠고 있다.
또 예년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심각한 인권 상황 개선을 촉구하는 결의안도 제출될 예정이다.
유럽연합(EU)이 제출할 예정인 대북 인권 결의는 북한의 심각한 인권침해에 대한 우려 표명 및 즉각적인 중단 촉구, 탈북자에 대한 북한 당국의 가혹한 처벌에 대한 우려 표명, 탈북자 강제 송환을 금지하는 원칙 존중 촉구 등의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미국과 일본, 독일 등 99개국이 찬성했고 중국과 말레이시아 등 20개국이 반대표를 던졌으며 63개국의 기권으로 통과돼 5년 연속 대북 인권 결의가 채택됐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