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기획재정부 등 경제부처 출신 관료들이 주요 부처 장ㆍ차관 자리를 꿰차며 공무원 사회에 거센 세대교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우리 경제의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해 오고 있는 재정부를 비롯한 경제부처 출신 고위관료들이 이명박 대통령 집권 후반기 들어 비경제부처 고위직을 장악하고 개혁정책을 이끌고 있다.
젊고 능력 있는 관료들의 발탁을 통해 ’공정사회’를 구현하고 경제원리는 공직사회에 도입하려는 이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기획재정부와 관련 부처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 등 경제부처는 물론 국방부와 방위사업청, 여성부 장·차관에까지 재정부 출신 고위직들이 진출해 있다.<관련기사 3면>
지난 6월 재정부 1급인 기획관리실장에서 여성부 차관으로 전격 발탁된 김교식 차관과 재정부 2차관에서 국방부로 수평이동한 이용걸 차관이 주목받는 인물로 거론된다.
여기에 올해 재정부 재정정책국장에서 방위사업청 차장으로 승진 발탁된 권오봉 차장의 경우도 재정부 출신 관료들의 보폭이 비경제부처로 크게 넓어지고 있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특히 재정부와 지식경제부 등 경제부처에 근무 중인 고위관료들은 크게 보면 모피아로 불려온 옛 재무부와 경제기획원 출신이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 정부 들어서는 재무부 출신이 경제기획원 출신보다 다소간 앞서가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현 정부와 철학과 정책이 상반됐던 참여정부에서는 경제기획원 출신들이 대거 고위직에 등용됐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재무부 출신 대부격으로는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 겸 대통령 경제특보를 지내고 있는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다.
강만수 위원장의 애제자 격인 최중경 청와대 경제수석도 재무부 출신이다. 벌써부터 차기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안팎에서 유력히 거론되고 있는 윤진식 한나라당 의원도 재무부 출신이다.
이른바 재무부 출신 등 경제의 콘트롤 타워 역할을 맡아온 이들이 강한 응집력을 발휘하면서 집권 후반기에 접어든 지금 오히려 그 세가 넓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들보다는 못하지만 경제기획원 출신들도 정중동 속에 때를 엿보고 있다. 참여정부에서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정책홍보관리실장(1급)을 지냈던 장태평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도 경제기획원 출신이다.
경제기획원 출신으로 현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하다 조달청장에 올랐던 장수만 방위사업청장도 경제부처 관료들의 보폭이 넓어진 대표적인 케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이 대통령 집권 초기 정부조직 개편으로 관료사회에 한차례 태풍이 몰아쳤지만 지난 2008년 말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야기된 초유의 경제위기가 이들의 응집력을 다시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는 게 안팎의 평가다.
이명박 대통령의 ‘공정사회’ 주창으로 경제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도 주목받고 있다. 현 정부 초기에 공정위 폐지론이 대두될 정도로 위기감이 돌던 때와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특히 대기업집단 사전규제의 대표격이었던 ’출자총액제한제도’를 담당해 온 기업집단과가 지는 해라면 기업협력국은 뜨는 해다. 현 정부 핵심실세인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이 공정위원장의 위상을 이만큼 끌어 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