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 침수원인…전문가 의견도 갈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9-24 19: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추석연휴 첫날인 21일 쏟아진 집중호우로 서울의 심장부인 광화문 광장이 물에 잠긴 원인을 놓고 학계 전문가 사이에서 다양한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일부 전문가는 광화문 광장을 콘크리트로 뒤덮어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한 탓에 도심 일대가 침수됐다고 주장했다.

   연세대 토목공학과 조원철 교수는 24일 "광화문 광장을 조성하면서 가로수를 모두 뽑아 버린 탓에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 수 있는 공간이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종전 세종로 사거리에는 가로수가 심어져 있어 물이 흡수될 수 있었고 홍수가 나도 물이 천천히 흘렀으나, 콘크리트로 덮인 현재의 광화문 광장은 그 자체가 물이 빠르게 모여드는 `물길'이 됐다는 것.

   여기에 빗물이 콘크리트 물길을 타고 모이는 속도에 비해 광화문 광장의 하수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지표면의 물이 하수관으로 들어가는 배수구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침수피해가 컸다는 분석이다.

   조 교수는 "예전처럼 광화문 광장에 가로수를 심고 하수관의 크기와 배수구의 숫자를 크게 늘려야 도심이 물에 잠기는 일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도 콘크리트 광장이 도심 물난리의 주범이었다며 가세했다.

   박 교수는 "서울광장처럼 초지를 많이 만들어야 땅속으로 빗물이 스며들 수 있다"며 "광화문 광장은 생태적으로 건전하지 못하고 치수 측면에서도 안전하지 못하다"고 했다.

   그는 "21세기 대한민국 한복판에서 물난리가 난 건 국가적 망신"이라며 "광화문 광장의 일부를 부수더라도 문제점은 바로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콘크리트 광장은 이번 물난리의 지엽적인 원인에 불과하다는 견해도 적지 않았다.

   성균관대 토목공학과 김도년 교수는 "흙으로 된 운동장보다 콘크리트 광장에 물이 더 잘 고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번처럼 비가 많이 오면 결국 흙 운동장에도 비가 고인다"며 "재개발 재건축으로 서울의 구릉지가 콘크리트로 덮인 것이 더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은 산으로 둘러싸여 비가 모일 수밖에 없는 지형인데 구릉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산지에 내린 비가 땅으로 스며들지 않고 그대로 평지로 모여든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것이다.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이상석 교수도 광화문 광장의 콘크리트 포장과 침수를 바로 연결짓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라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광화문 광장 조성이 어느 정도 침수에 영향을 줬겠지만 다른 요인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일시에 많은 비가 내릴 때 침수 우려가 큰 것은 광화문뿐만 아니라 인공지반이 많은 도시 대부분이 안고 있는 문제"라고 반론을 폈다.

   성균관대 김도년 교수 역시 "기후변화와 함께 국지성 호우가 잦아지면 자연토양이 적은 도시는 심각한 물난리를 겪게 될 것"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도시의 배수와 관련한 패러다임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