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오는 2019년까지 전남 부안·영광 등 서남해안에 2500MW급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가 단계적으로 조성된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2일 전남 영광원자력발전소에서 '해상풍력추진협회의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는 1단계로 2013년까지 부안·영광지역 해상에 100MW(5MW급 20기) 국산 해양풍력발전기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이후 2016년까지 900MW(5MW급 180기) 규모의 시범단지를 건설하고, 2019년까지 1500MW(5MW급 300기)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추가로 조성한다.
◆ 시범단지 통해 '트렉 레코드' 확보
우선 정부는 2013년까지 100MW 시범단지를 건설하고 '트랙레코드(Track Record)'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해상풍력발전 운영경험을 뜻하는 '트랙 레코드'는 세계시장 선점 필수요건 중 하나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풍력발전기를 수출하려면 일정기간 풍력 발전기를 설치·가동한 운전경험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두산중공업이 3MW 개발을 완료했고, 현대·삼성·STX 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효성 등이 오는 2012년 말까지 5MW급 이상의 해상풍력발전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전통 강국인 유럽과 새롭게 부상하는 중국과 미국에 비해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1단계로 6036억원을 투자해 빠른 시일내에 실증단지부터 설립하고, 트렉 레코드를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이후 2단계 시범단지에는 민·관 합동으로 3조 254억원을 투자하고, 3단계 추가 단지 건설에는 민간에 5조 6300억원을 투자한다.
◆해상풍력 추진계획
이번 해상풍력 건설단지 지역으로 선정된 전남 부안·영광은 바람 등급이 6.9~7.5m/s에 해당하고 수심이 20M이내며, 변전소 이격거리가 15km에 달해 300MW이상의 대규모 단지를 개발할 수 있는 곳이다.
정부는 2008년 10월부터 우리나라 전체 해상을 대상으로 풍황, 수심, 계통연계조건, 해안과의 이격거리, 변전소 이격거리, 확장성 등을 조사해 이 곳을 최적지로 선정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해상풍력추진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 '해상풍력추진단'을 설치했다.
서남해안권 외에 제주도와 남해안 등 기타 다른 지역의 소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에 대한 지원방안도 별도로 검토한다.
또 오는 2012년부터 시행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에 대비해 해상풍력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계획이다. 육상풍력에 비해 해상풍력이 투자비가 많이 든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해상풍력단지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지만 조선·중공업, 해양플랜트 등 연관산업과 접목하면 조기에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며 "협소한 국토여건을 감안했을 때도 해상풍력이 육상풍력보다 환경파괴가 덜하고 민원발생이 적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