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환율과 자본 통제 등 국내외 금융시장의 최대 현안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
국제금융센터는 2일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주요이슈 점검' 보고서에서 이들 현안의 향배가 궁금하다면 이번달로 예정된 굵직한 이벤트 6가지에 주목할 것을 권했다.
보고서가 꼽은 주요 이벤트는 이날 치러지는 미국 중간선거, 주요 선진국의 양적 완화(유동성 공급) 조치,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유럽연합(EU)과 일본의 3분기 지표, 신흥국의 추가 자본유입 억제책, 미-EU 정상회담이다.
이 가운데 시장의 이목이 가장 쏠린 대목은 주요국의 양적 완화와 G20 정상회의의 구체적 성과다.
오는 3일 미 연방준비제도(Fed)를 필두로 유럽중앙은행(ECB)과 영란은행(BOE)이 4일, 일본은행(BOJ)이 5일 각각 금리 수준을 정한다. 금리는 동결이 예상되지만 정작 관심사는 추가 양적 완화의 규모.
보고서는 "시장에서 미국의 추가 양적 완화는 6천억∼1조5천억달러 규모일 것으로 관측되며, 일정을 하루 앞당긴 일본도 추가 양적 완화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국이 대규모 양적 완화에 나서면서 자국 통화가치를 끌어내리고 경쟁국의 통화가치를 높이려 한다면 잠시 봉합되는 듯했던 `환율전쟁'은 다시 불붙을 확률이 높다.
지난달 G20 경주 회의에서 `시장결정적 환율제도'라는 큰 틀의 합의가 발표됐지만, 우리 정부의 기대와 달리 서울 정상회의에서 이러한 합의가 구체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환율 외에도 여러 현안을 함께 다뤄야 해 환율에만 집중된 강도 높은 합의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G20 정상회의에서 환율 문제와 관련해 상징적이고 원론적인 원칙을 언급하는 데 그친다면 각국의 통화가치 절하 경쟁은 중단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렇게 되면 다음 차례로 나타날 이벤트는 신흥국의 추가적인 자본 유출입 통제 조치다.
보고서는 G20 정상회의에서 환율 문제가 속 시원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면 "신흥국들이 자본유입을 억제하려는 각종 조치를 더욱 적극적으로 취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