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우리나라가 올해 주요 20개국(G20)들 중 5번째로 인구가 적을 것으로 전망됐다.
3일 기획재정부와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등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G20 중장기 인구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인구가 4891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G20 가운데 호주(2223만명), 사우디아라비아(2610만명), 캐나다(3407만명), 아르헨티나(4051만명)에 이어 5번째로 적은 수치다.
한국 다음으론 남아프리카공화국(4991만명), 이탈리아(6020만명), 영국(6222만명), 프랑스(6295만명)가 인구가 적은 나라로 분류됐다.
반면 중국은 올해 인구가 13억4141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돼 G20 중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로 분류됐다.
중국 다음으론 인도(12억1594만명), 미국(3억1028만명), 인도네시아(2억3455만명), 브라질(1억9325만명)이 그 뒤를 이었다.
인구 증가 속도에 있어서도 한국은 올해부터 2015년까지 겨우 76만5000명밖에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2015년 한국은 4967만명으로 G20 중 인구 순위가 15위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러시아는 같은 기간에 238만명이나 줄어 G20중 가장 많이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고 일본(-121만명), 독일(-81만명)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 인도는 8330만명, 중국은 3387만명이 증가해 G20중 가장 많이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과 인도는 오는 2015년 인구가 13억7529만명, 인도는 12억9924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민 정책을 강력하게 실시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와 미국도 2015년까지 각각 1564만명, 1510만명씩 적지 않게 인구가 늘어나는 국가로 기록될 전망이다.
아울러 브라질(623만명), 멕시코(554만명), 터키(462만명), 남아프리카공화국(306만명), 사우디아라비아(291만명)도 많은 인구 증가가 예상됐다.
이광효 기자 leekhy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