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당초 전면전으로 흐를 것 같던 검찰과 정치권의 대치는 어느새 정치권이 한 발 물러나는 모양새를 띄고 있다.
강기정 민주당 의원이 이명박 대통령의 부인인 김윤옥 여사가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연임로비와 관련됐다는 폭탄발언에 따른 검찰의 표적 수사라고 날을 세우던 모습과는 다른 양상이다.
민주당 측은 이번 주로 예상되는 검찰의 소환요구에 불응할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지만 이미 내부에서는 “당당하면 떳떳하게 조사를 받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입장변화는 정치권을 향한 검찰의 수사가 여론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는 데에 따른다.
실제로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청목회와 관련한 국회의원들의 압수수색에 여론의 과반 이상이 지지를 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들이 검찰을 향해 직접적인 대응은 하지 못하고 “검찰이 입법부를 무시하는 행태” “국회의원들을 전부 나쁜 놈으로 몰아가려는 과잉수사”라고 억울함만 호소하고 있는 것도 일면 이해가 간다.
그러나 여론의 눈치만 보며 ‘보여주기 식’ 정치로 일관해 온 정치권이 여론의 불신을 사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당시 여론만 넘기면 된다는 식의 모습을 보인 것은 아닌지 고민해야 한다는 말이다.
언론과 여의도를 떠들썩하게 장식했던 강용석 한나라당 의원의 성희롱 사건은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된 뒤로는 감감 무소식이다.
지난 11일 시위자 전원이 유죄라는 대법원의 용산 참사 판결이 있던 날, 정치권의 관심은 G20 정상회의와 관련해 제 각각의 정치적 이익을 찾는데 급급했다.
‘제 식구 감싸기’, ‘정파 싸움’ 등을 일삼으며 계속해서 ‘귀 막고, 눈 가리는’ 여론의 ‘눈치보기’만 계속하는 한, 국민들은 정치권이 누구와 싸우든 상대의 편을 들어줄 것이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