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민주당은 김 내정자가 참여정부 당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합의했던 이력을 들어 이 부분에 대한 입장을 확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 내정자는 지난 2006년 합참의장 재임시 오는 2012년 한·미간 전작권 전환계획에 합의, 서명했으나, 이는 현 정부 들어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간의 합의로 2015년 12월까지로 연기된 상태다.
또 민주당은 김 내정자의 증여세 탈루 의혹 등 도덕성 문제도 집중 추궁한다는 방침.
국회 국방위원회 민주당 측 간사인 신학용 의원은 2일 “(김 내정자는) 2008년 3월 합참의장 재직시 당시 공직자 재산신고에서 두 딸의 재산이 거의 없었는데 이번엔 1억원 정도의 예금잔액이 있었다”며 “이에 대한 해명자료를 받았지만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북한의 서해 연평도 포격 도발에 따른 국가 위기상황인 만큼 안보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조속한 청문절차 진행을 요구하고 상황.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김 내정자가 현재 안보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적임자란 평가가 지배적”이라며 “김 후보자는 임명 즉시 현 위기뿐 아니라 서해 5도를 비롯한 전군의 전투력 강화 등 국방개혁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