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안동 구제역 17곳으로 늘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2-03 22: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안동 구제역 17곳으로 늘어

경북 안동 구제역 발생지역이 모두 17곳으로 늘어났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된 안동의 양과 염소는 구제역이 아닌 것으로 판정됐다.

농림수산식품부는 3일 "경북 안동 지역에서 최근 의심신고로 접수된 9건에 대한 검사 결과, 한 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양성으로 판정됐다"면서 "이로써 지난 29일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이후 모두 17곳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모두 27건의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돼 이 가운데 17곳은 구제역으로, 4건은 음성으로 판정됐고, 나머지 6건은 빠르면 4일 오전부터 검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특히 구제역 1차 발생지로부터 50여km를 벗어나 관심을 모았던 경북 청송 한우농가의 구제역 의심 신고는 음성으로 판정돼 정부 당국과 경북도 등 지자체는 일단 한숨 돌리게 됐다.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 17건이 경계지역(1차 발생지로부터 10km 이내) 이내로 한정돼 현재까지는 안동 이외 지역으로는 확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제역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1∼2주 정도여서 향후 10일 정도 지켜볼 필요가 있는데다, 안동 지역에서 지난달 29일 이후 닷새만에 무려 17건이 구제역으로 확정된 터여서 방역에 실패하면 이번 구제역이 인근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지난 2일 안동시 옥동의 한 농가에서 국내에선 처음으로 접수된 양과 염소의 구제역 의심 신고가 음성으로 판정됨에 따라 이번 구제역이 아직까지는 다른 가축에까지 퍼지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청송 지역이 구제역에서 제외된 것은 다행"이라며 "이번 주말을 고비로 의심신고는 계속 접수될 가능성이 크며, 내주 이후 의심신고 건수가 어떤 추세를 보이느냐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구제역으로 매몰대상 가축 수는 3일 낮 현재 179농가, 5만8천521두로 크게 늘어나 국내 대표적 한우산지인 안동 지역 축산농가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살처분 보상금 146억원, 긴급방역비 24억원, 축산농가 생계안정비 5억원 등을 긴급지원했다.

농식품부는 이날 정 승 2차관을 반장을 하는 방역추진실태점검반을 구성,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인접 시.도에 대한 방역상황과 공.항만에 대한 검역실태를 집중 점검하는 등 구제역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안동은 물론 인근 의성, 보령 지역에까지 방역이 강화됐으며, 지난 1일부터 전국의 가축시장 85곳을 모두 폐쇄했다. 또 경북 안동 지역에 이동통제 초소 79곳을 설치한 것을 비롯해 강원 3곳, 충북 8곳, 충남 2곳, 경남 22곳 등에 초소를 설치, 구제역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 있다.

안동 구제역으로 우리나라가 지난 9월 다시 획득한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박탈됐다. 이에 따라 청정국 지위 획득 이후 재개됐던 국내 축산물의 해외수출길도 다시 막히게 됐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