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이 9일 정부·여당을 향해 강도 높은 전면투쟁을 선언하고 나서면서 향후 정치일정이 전면 중단되는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일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또 다시 벌어진 ‘국회폭력’ 사태에 대해 사과하면서도 그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고 주장하는 등 악화된 여론의 화살을 민주당에 돌리려는 태도가 역력하다.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예산안 처리 과정에 대해 “민주당이 보좌관 및 당직자 수백명을 동원해 우리 의원들의 진입을 막고 폭행했다. 본회의장까지 난입해 헌정을 침해하는 특수공무집행방해죄를 저질렀다”고 거듭 비난했다.
이어 그는 “폭력과 파행으로 얼룩진 부끄러운 역사를 근절하려면 국회 선진화를 위한 개혁을 시작해야 한다”며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관련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기도 했다.
또 고흥길 정책위의장은 전날 예산안 강행 처리가 ‘청와대 입김’ 때문이란 야당들의 주장에 대해 “박희태 국회의장이 정부 주문을 받아 (예산안과 법안을) 직권상정했다는 말은 박 의장에 대한 인격적 모독이다.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반드시 법안을 처리해야 했고, 더 미뤄선 안됐던 상황이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한나라당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민주당은 당장 이날로 100일간 정기국회 회기가 종료된 만큼 정부·여당에 대한 대규모 규탄대회를 여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고위정책회의에서 “이명박 정권의 무능을 국민이 심판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10일 전국 지역위원장 연석회의를 통해 정부·여당의 예산안 강행 처리 사과를 요구하는 집회계획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일각에선 내년 2월 임시국회 때까지 국회가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큰데다 여론의 지지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점에서 장외투쟁이 무력화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