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예산안 강행처리의 후폭풍을 잠재우고 특히 장외투쟁에 '올인'하고 있는 민주당 등 야당이 국회로 돌아올 명분을 만들어 주기엔 개각만한 '이벤트'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19일 여권 소식통에 따르면 청와대는 공석인 감사원장과 국민권익위원장을 비롯한 주요 개각 후보군에 대한 기초 인사검증을 상당부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각각 4~5개월째 대행체제인 감사원장과 권익위원장은 사실상의 업무공백을 이유로 이르면 연내 인선까지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 소식통은 "감사원장과 권익위원장의 경우 시내 모처에서 일부 후보자에 대한 '간이 면접'까지 진행한 것으로 안다"며 "언론에 하마평이 나오지 않은 전혀 의외의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앞서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기자들과 만나 "1~2곳 빈자리는 적절한 시기에 할 것이다"고 말해 이들 직위에 대한 인선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현재 여권 주변에선 후임 감사원장 후보로 정동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경한 전 법무부 장관,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그리고 권익위원장엔 김대식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등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회전문 인사' '돌려막기 인사'란 야당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공정사회 실현 기조에 맞는 제3의 인물"을 기용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평가다.
감사원장과 권익위원장 외엔 지난 '8.8개각’ 당시 후임 내정자가 국회 인사 청문 과정에서 낙마한 지식경제부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우선 개각대상으로 꼽힌다.
지경부 장관 후보로는 오영호 한국무역협회 부회장과 조환익 코트라(KOTRA) 사장이, 문화부 장관엔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과 박형준 전 정무수석 등이 거명된다.
그러나 다른 일각에선 지경부와 문화부가 이미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내년도 업무추진계획 보고를 마쳤다는 점에서 "빠른 업무추진을 위해 내부인사를 기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새해 정책방향의 기본 틀이 잡힌 상태에서 외부 인사를 신임 장관에 임명할 경우 업무 이해에만 적잖은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에서다.
이들 외에도 대통령 직속으로 개편되는 국가과학기술위원장에 대한 인선이 내년 4월 위원회 출범에 앞서 이뤄질 전망이다. 또 한나라당 안팎에선 현 정부 출범 때부터 자리를 지킨 국토해양부와 환경부 장관,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 등으로 '소임'을 다했다는 평을 듣고 있는 기획재정부 장관, 그리고 일련의 대북 상황에 대한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통일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 등까지 교체대상에 포함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는 '국면전환용 개각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일단 '개각 카드'를 쓰게 되면 경색된 정국의 화두가 자연스레 인사청문회로 넘어가게 돼 여당은 물론, 야당에게도 결코 나쁘지 않다"며 "현재로선 '일괄 개각이냐, 아니면 순차 개각이냐'는 정도의 문제만 남은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