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금융보(國際金融報)는 내년 중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은 크게 △ 보장성 주택 건설 △토지시장 동향 △부동산보유세 도입 여부에 집중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 내년 부동산 시장 중추세력 - 보장성 주택
전문가들은 내년 보장성 주택 건설 사업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중국 주택시장 수급이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초 중국 정부는 연내에 580만채, 내년에 가서 1000만채 이상의 보장성 주택을 지어 중·저소득층 가정의 주택 수요를 충족시킬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중국 전역에서 보장성 주택 및 재개발 사업이 진행된 결과 전체 목표 수량인 580만 채의 90% 수준인 520만 채 보장성 주택이 현재 건설 중에 있으며, 나머지 10%도 올해 안으로 착공될 예정이다. 또한 이 중 60%가 올해 안으로 완공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궈훙딩(郭宏定) 난징(南京)시 부동산관리국 부국장은 “내년 보장성 주택 물량이 예정대로 시장에 쏟아지면 주택 수급이 균형을 찾아 주택가격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 토지거래: 주택용지 ↓ 상업용지 ↑
올해 정부의 토지 매점매석행위 단속, 토지 거래 선불금 인상 등 정책으로 중국 토지가격은 대체로 하락세를 보였다. 중국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각종 토지 공급량을 조절해 땅값 안정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지수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전국 105개 주요 도시 주택용지 가격의 동기대비 증가폭은 1월의 125%에서 10월에는 7%로 대폭 하락했다. 이에 따라 10월 105개 주요도시 평균 주택용지 가격은 ㎡당 1732위안으로 9월보다 무려 29%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내년에도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정부의 집값 잡기 조치를 피해 상업용 부동산 개발에 나서면서 상업용지 거래는 활황을 띨 전망이다. 장츠페이(張馳飛) 화타이(華泰) 증권 연구원은 “올해 상업용지 가격 급등으로 일부 지역의 땅값이 대폭 올랐다”며 “이러한 상승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일부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금싸라기 지역, 자연친화 지역 등 특수지역으로 눈을 돌리면서 이런 땅값도 대폭 오를 전망이다.
△ 부동산 보유세, 언제 시행하나
중국 부동산 시장에 충격을 줄 ‘핵폭탄 급 무기’로 불리는 부동산보유세는 이른 시일 내에 도입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상하이(上海), 충칭(重慶), 선전 등 도시에서는 부동산보유세 시범 도입에 대한 절차를 서두르고 있지만 징수방법이나 절차 등에서 여전히 의견 조율이 쉽지 않다는 것. 여기에 다른 세금과 달리 부동산 보유세 도입이 중국 경제에 미칠 파장 역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게 이유다.
이에 대해 자캉(賈康) 중국 재정부 재정과학연구소 소장은 “부동산 보유세 도입은 이미 중앙 정부에서 확고하게 결심한 정책”이라며 “1년 안에 시범 도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