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입법조사처 “이집트 인터넷 통제, 국민저항만 심화”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국회 입법조사처는 2일 이집트 정부가 시위확산 방지를 위해 인터넷을 통제한 것과 관련, “이집트가 인터넷과 언론을 탄압하면서 많은 블로거들을 체포했고, 그 과정에서 인터넷을 통한 국민의 저항은 심화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국회 입법조사처의 사회문화조사실 김유향 문화방송팀장과 조희정 입법조사관은 조사처가 이날 발간한 ‘이슈와 논점’의 ‘이집트의 정치격변과 인터넷 차단의 정치효과’라는 글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들은 “이집트 정부의 극약처방에도, 다양한 기술적 우회수단을 가진 인터넷 소통을 막지는 못했다”며 “시위 확산을 막지 못했고 국가위신만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또 알자지라 방송도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활용한 보도로 이집트 정부의 인터넷 차단을 무력화시켰고, 미국.영국의 주요 미디어도 각종 SNS의 글들을 인용, 이집트 사태를 적극적으로 알린점도 이집트의 인터넷 통제가 실패한 이유로 꼽았다.

이어 ‘SNS의 빠른 네트워크 효과에 의해 촉발된 튀니지 혁명’이란 글을 통해 “튀니지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SNS는 온라인 공간만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환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