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꿈, 위안화를 '동아시아 결제화폐'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2-09 16: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연간 무역결제 대금 86조원…中중심 역내 FTA 기대

세계 초일류 경제대국으로 한발 한발 다가서고 있는 중국. 13억명에 달하는 인구와 지난해 GDP 기준 세계 2위 경제규모, 광대한 영토와 천연자원, 그리고 가늠조차 되지 않는 미래 성장성을 무기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은 급팽창하고 있다. 중국은 장기적으로 달러화에 버금가거나 대체할 만한 영향력을 지닌 위안화를 만들려 하고 있으며, 그 발판으로서의 첫 작업은 아시아에서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 다시말해 우선 아시아를 위안화의 영향권 아래 두겠다는 것.

◆86조원…급증한 위안화 무역결제

중국이 위안화를 국제 무역결제 화폐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2009년 7월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달러화 파동을 경험한 중국은 재빨리 위안화 무역결제 허용안을 가다듬어 2009년 시범운영에 돌입했다. 무역결제가 허용됐던 지난 2009년 중국의 위안화 무역결제액은 36억위안이었다. 이후 작년 1분기에는 184억위안, 2분기에 303억위안, 3분기에 778억위안으로 급증했다.

반응이 좋자 지난해 12월 중국 당국은 16개 성(省)의 총 6만7359개 기업이 수출할 때 위안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종전까지 위안화 결제가 가능한 중국의 수출기업은 365개에 불과했다. 이로써 지난 4분기에만 3798억위안이 결제대금으로 사용되며, 연간 5063억위안(한화 약 86조원)의 결제실적을 기록했다. 전체 결제 대금의 80%는 중국 내 수입업체가 해외 수출업체에 지불하는 돈이다. 전체 수입결제액의 4.65%, 수출액의 0.44%가 위안화로 거래됐다. 위안화결제 상대국은 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화교경제권 아래 놓인 아시아국가들이다.

중국 건설은행(CCB) 인터내셔널증권의 글로벌 전략부문 파울 슐트 대표는 “중국 위안화의 무역결제 규모가 2015년 지난해의 160배인 3조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향후 위안화가 아시아 기축통화로 부상할 가능성이 농후함을 의미한다.

◆재부상하는 금융허브 홍콩

위안화 무역결제를 통해 수출대금을 위안화로 받은 외국인들은 향후 위안화가치 상승을 기대해 현금성으로 통화를 보유하거나, 이를 이용해 위안화 표시자산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아직까지 금융시장을 완전개방하지 않고 있는 중국은 자신들의 주권 하에 있지만 본토 금융시장과는 독립적이며 국제금융센터로서 이미 자리를 잡은 홍콩을 투자처로 내세웠다.

지난해 홍콩에서는 보험과 증권 등에서 위안화 표시 금융상품 판매가 허용되었고, 일부 금융기관은 중국 채권시장 참가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딤섬본드라고 불리는 홍콩 내 위안화 채권 발행도 좀 더 쉬워졌다.

이로써 전세계 금융기관들은 앞다퉈 홍콩으로 몰려오고 있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지난 10월말 홍콩의 위안화 예금액이 9월말에 비해 678억위안(45.5%)이 늘어난 2천171억위안(37조6천7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창(曾蔭權) 행정장관은 “지난 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외무역 결제업무의 절반이 위안화로 이뤄졌을 뿐만 아니라 위안화 채권 업무 역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홍콩이 국제 금융중심지로서 ‘제2의 도약’을 이룰 것이며 이는 고스란히 위안화의 영향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이끌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역내 FTA 통해 중화경제권 목표

이처럼 중국의 경제력이 부상하고, 또 위안화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아시아 국가들의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필요성 역시 커지고 있다. 이미 중국은 지난해 1월 아세안국가연합(ASEAN)과 FTA를 맺었으며 이어 6월에는 대만과 FTA격인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에 서명했다. 이에 우리나라 역시 한·중 FTA를 서둘러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한·중·일 FTA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경제공동체가 탄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 쥐궈위(雎國余)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겸임교수는 “한중 경제협력의 방향은 한중 자유무역협정→한중경제공동체→한중일경제공동체→동아시아경제공동체→동아시아화폐결제단위통일로 이어질 것”이라며 “우리는 이러한 날이 오기를 간절히 기대한다”고 말했다.

(베이징 = 조용성 특파원)


(아주경제 조용성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