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표준 땅값 1.98% 상승.. 상승폭 둔화

  • 보금자리지구 일대 땅값 초강세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가 지난해에 이어 소폭 상승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땅값 상승률이 줄어들며 안정세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는 올해 표준지 공시가격을 총가액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 한 해 동안 전국은 평균 1.98%, 수도권은 1.86%, 광역시는 2.3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3000만 필지의 개별 공시지가 산정과 보상평가 등의 기준이 되며, 개별 공시지가는 각종 과세와 부담금 부과 기준으로 활용된다.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은 2006년 17.8%, 2007년 12.4%, 2008년 9.6%로 고공행진을 하다가 2009년 1.4% 떨어졌다. 이후 지난해(2.51%) 상승세로 반전된 이후 올해도 안정세를 보였다.

전국 251개 시·군·구 중에서는 강원 춘천시가 6.22%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경남 거제시(6.14%), 경기 하남시(6.08%), 강원 인제군(5.54%), 강원 영월군(5.07%)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충남 계룡시(-0.08%)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하락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표준지는 서울 중구 충무로1가 24-2번지로 가격이 ㎡당 6230만원에 달해 지난 2005년부터 7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경북 울진군의 한 임야는 ㎡당 115원에 불과해 지난해에 이어 가장 싼 표준지로 나타났다.

보금자리주택지구 주변 지역의 땅값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많이 올랐다. 미사·감일·감북 등 3개의 보금자리지구가 위치한 경기도 하남시는 6.08% 올랐다. 3차 지구로 지정된 경기도 광명시의 가학동 산43이 15.15%,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 46이 16.13%로 상승세를 보였다.

이밖에 위례신도시로 지정된 서울시 송파구 장지동 624-2가 53.06%, 서울 강남권이 9~10% 오르는 등 보금자리주택지구 땅값이 강세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