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대학 터무니없이 부족

  • - 고교 졸업생 대부분이 타 지방으로 진학

(아주경제 허경태 기자) 경기북부지역 소재 대학이 이 지역 고교 졸업생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어 대부분의 학생들이 진학을 위해 타 지방으로 유학을 가야하는 처지로 학부모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현 실정을 외면한 수도권정비계획법의 규제조항 탓으로 이에 대한 개정논란도 거세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7일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경기북부지역에서 지난 해 배출한 고교 졸업생은 일반계와 전문계 등을 모두 합쳐 3만5,575명이며, 이중 전문대와 4년제 대학교, 교육대학, 국외 진학자 등에 진학한 학생수는 2만6,723명으로 졸업생의 75%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북부지역에는 전문대와 4년제 대학교 등 7개교에 불과한 실정으로 모집정원도 1만여명을 조금 웃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나마 타 지방에서 유입된 학생들이 대부분으로 이 지역 고교 졸업생에 비해 같은 지역으로의 진학자 수는 터무니 없이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어쩔수 없이 대부분 타 지방으로 진학을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숙식비와 교통비 등이 학부모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이같은 타지방으로의 진학이 낙후지역인 경기북부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김우경(50)씨는 이같은 사정에 대해 "서울에 있는 전문대에 딸을 진학시켰으나, 통학거리가 너무 멀어 가까운 의정부시에 방을 얻어 자취를 시키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한달에 교통비 외에 자취비로 1백여만원이 더들어가 부담이 되나, 먼 지방으로 진학시킨 학부모들이 주변에 많아 그나마 적게 들어가는 편이라며 위안을 삼고 있다"라고 밝혔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대부분이 낙후지역인 경기북부지역의 타지방 대학진학으로 상당수의 지역경제력이 외부로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이같은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도는 이 지역에 대한 대학신설금지 조항의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개정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하고 있는 상황이나, 개정 움직임이 전혀 없어 지난 해 말 경기도는 이같은 부당성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출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화대와 서강대, 건국대 등이 경기북부지역 이전을 검토하거나 이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지만, 반환 주한미군공여지 등의 문제로 시일이 늦어지고 있다"며 "이들 대학이 이전해 온다해도 분교 형태로 이 지역 진학자들의 타 지방 진학 행렬은 계속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