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차관은 이날 윤증현 장관이 주재한 ‘긴급경제정책회의’ 이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상황이 진행중인만큼 면밀하게 동향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가동을 멈추거나 폭발한 일본 원자력 발전소와 관련,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임 차관은 “가동중단 된 공장은 일본 전체 원자력 발전량의 3.2% 정도로 신속하게 복구한다면 큰 지장 없을 것”이라며 “다만 장기화할 경우 화력용 유연탄이나 LNG등 대체 에너지 수요가 늘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지경부와 논의했다”고 전했다.
임 차관은 1995년 1월에 발생한 고베대지진을 예로 들며, 이번 대지진이 일본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고베대지진 발생했을때, 1994년 4분기보다 1995년 1분기의 GDP 성장률이 더 컸다”며 “물가상승률도 1994년 12월과 1995년 1월, 2월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유수의 경제전문가들도 현재까지의 지진발생 상황만 본다면 일본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정도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임 차관은 윤증현 재정부 장관이 일본의 복구 및 구호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고 전했다.
우리가 일본과 가장 가까운 이웃인 만큼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복구 및 구호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는 것.
임 차관은 “정부뿐만 아니라 일본과 거래하는 기업들도 대금회수나 거래선 변경등을 상호협력 하는 차원에서 자제하도록 하자”며 "국민들도 일본의 어려운 상황에 따뜻한 마음으로 배려하고 위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현재 한국에 체류중인 일본 국민들에 대한 따뜻한 보살핌과 배려를 보여야 한다"며 "긴 안목으로 봤을때 일본은 협력적인 파트너"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