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센타이시를 포함해 미야기현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 교민(약4500명)의 3분의 1이상은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피해가 가장 컸던 도호쿠(東北) 해안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 교민은 센다이시 와카야마구 3~4가구와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8가구,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8가구, 미야기현 케센노마시 2가구 등 약 60명의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또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의 반경 30㎞ 이내에 거주하던 교민 2명도 연락이 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주일대사관과 주센다이 총영사관, 지역 민단 등도 전화는 물론 교민들의 거주지를 직접 방문해 확인작업을 거치고 있다"며 "교민들의 피해 현황 파악에 주력하고 있고 아직까지 인명 피해가 확인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김정수 일본 센타이(仙臺)시 총영사는 이날 "아직까지 센다이시 일부에만 전기가 들어오고 미야기현 대부분이 정전 상태라 공관에서 전화로 생사확인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영사는 "그러나 4500명 정도인 우리교민의 현재 3분의 1이상은 안전이 확인됐다"며 "사망자나 부상자 여부는 아직 확인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내에서는 아직 집전화나 휴대전화나 할 것 없이 서로 통화가 잘 안되지만 외국에서 걸려오는 전화는 의외로 연락이 잘 되는 편"이라며 "조금씩 안정을 되찾는 교민들과 연락이 되고 있어 계속 인명 피해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12일 일본에 도착한 정부 신속대응팀이 센다이에서의 우리 국민 피해 파악 결과, 현재까지 안전이 확인된 교민은 도호쿠대에 재학 중인 한국인 유학생 77명과 센다이공항 내 아시아나항공 직원 1명, 센다이 주재 삼성전자 직원 전원, 한국해영선박(쿨루비스머큐리호)에 탑승한 한국인 선원 2명, 스키 관광팀 13명 등이다.
안전이 확인된 사람들의 명단은 외교부 영사콜센터, 02-3210-0404와 영사콜센터 트위터, 그리고 페이스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센다이 총영사관은 우리 국민들의 임시 대피소로 운영이 되고 있고 현재 여행객 40여 명과 교민 70여 명이 대피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