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의 지진으로 국민들의 모금이 잇따르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일본을 돕기 위한 대책마련에 분주하다.
지난 주말 지진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여야는 모처럼 합심해 관련 상임위를 긴급 소집해 일본의 지진이 국내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고, 한나라당은 당내 특별기구를 설치해 지진피해에 따른 지원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이웃 나라의 고통을 나누기 위한 이 같은 노력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이번 지진에 대한 지나친 관심으로 국내 문제에 대해 눈 감고 넘어가는 일은 경계해야 한다.
동남권 신공항과 과학비즈니스벨트, 등을 둘러싸고 각종 악재에 직면했던 여권은 이번 사태로 인해 시간을 벌게 됐고, 여야 의원들이 정치자금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민심의 역풍을 받았던 일도 일단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다.
‘상하이 스캔들’ ‘장자연 리스트’ ‘한상률 의혹’ 등도 모두 관심에서 멀어진 모습이다.
4.27 재보선을 앞두고 이 같은 악재에 대해 고심하고 있었던 정치권이 한 숨 돌릴 시간을 벌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 시간은 일본 지진 문제에 대해서만 ‘올인’하고 국내문제에는 손을 놓고 쉬어도 되는 기간이 아니다.
일본을 뒤 흔든 지진이 국내 문제를 모두 뒤흔들어 놓고, ‘쓰나미’처럼 뒤덮는 일은 없어야 한다.
신문의 지면이 일본 이야기로 도배되고 텔레비전 뉴스에서 지진 이야기 외에 다른 소식을 찾을 수 없다면 정작 우리 앞에 놓인 문제들은 더욱 멀어지게 된다.
일본에 대한 국제적 관심에 동참하고 인도적 지원에 함께 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를 정치적 기회로 여긴다면 이는 ‘어불성설’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