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지식경제부와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향후 6개월치의 붕산(H3BO3)이 확보된 상태라 이번 긴급지원에 따른 수급 부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나타났다.
◆日 관서전력 통해 52.6t 지원요청
정부는 지난 15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안정화를 위해 필요한 52.6t의 붕산 지원을 공식 요청해옴에 따라 이른 시일 안에 보내기로 했다.
붕산은 핵분열을 멈추게 하는 감속재로 쓰이는 화학물질로, 일본은 현재 원자로 폭발을 막고자 막대한 양의 붕산을 바닷물에 섞어 원자로에 쏟아붓고 있어서 어느 때보다 붕산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당초 일본의 간사이전력이 코트라를 통해 지원 여부를 타진해 왔고, 우리측이 이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자 이날 일본 대사관을 통해 공식적으로 지원요청이 이뤄졌다. 우리측은 일본측 요구량보다 0.4t 많은 53t을 보내기로 했다.
간사이전력은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후쿠야마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 도쿄전력과는 다르지만 일본 정부 차원에서 붕산의 추가적인 긴급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지원 요구 당시에는 국내 석유화학회사인 OCI(구 동양제철화학)에서 34t을 제공하고자 의사를 타진했지만 일본내 원전 사용에는 맞지 않는 사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16일 한수원이 우선 국내 원전 감속재로 사용하고 있는 붕산 샘플(1㎏)을 항공편으로 보내 일본내 원전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가 판명되면, 이르면 17일 중에라도 부산항에서 선적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방침이다.
최중경 지경부 장관은 16일 일본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고자 마련된 민·관 합동 대책회의에서 "당장 우리의 평소 재고량이 모자라게 되는 상황이 되더라도 일단 일본에 시급히 붕소를 지원하고 나중에 부족분을 채워넣으라"고 지시했다고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가 전했다.
◆지원분 제외 국내 수급 6개월치 확보
현재 국내 생산이 없는 붕산은 OCI에서 이탈리아를 통해 대행 수입돼 한수원에 판매되고 있다. t당 1450 달러로 총 지원물량은 7만6270 달러어치 상당이다.
정부는 우선 지원하고 난 이후 정산 여부는 추후 적절한 시기에 일본 정부와 협의하기로 했다.
한수원에 따르면 국내 붕산 재고량은 약 309t으로 요청분량을 제외하더라도 6개월치(256t)가 비축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원전별 붕산 비축량은 고리 18.6t, 영광 43.9t, 울진 44t, 시운전 원전에 202.3t 등 총 308.8t이다. 시운전을 제외하고 최소한 6개월치의 붕산을 각각의 원전에 사용하더라도 3.0t, 26.0t, 24.0t 등 총 53t의 여유량이 남아 지원을 결정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유량과 일본측 지원량이 거의 일치한 것은 우연의 결과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붕산은 원전 감속재와 화학연구실 등에서 시약용으로 사용되긴 하지만 대량살상무기 등을 만드는 핵심 요소와는 거리가 멀어 전략물자로는 분류돼 있지 않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다만 사용량이 제한돼 있어 국내 화학기업이 생산설비를 갖추기에는 채산성이 맞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정부 관계자의 지적이다.
그러나 매우 이례적이었던 이번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당장 물량 확보에 차질이 빚어지게 될 경우에도 대비해야 하는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이번 붕산 지원을 하더라도 향후 6개월 운전에는 전혀 어려움이 없다"면서 "다만 상황 추이에 따라 추가적인 물량 확보에도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