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지진 타격 국내기업 9%, 장기화시 절반이 피해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3-21 08: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대한상의 조사…현재까지 국내기업 피해는 제한적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국내기업의 직접 피해는 작지만 사태의 장기화로 예상되는 피해가 우려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국내산업 피해실태’ 조사에 따르면 ‘현재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기업은 9.3%로 많지 않았다.

하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피해가 예상된다’는 기업이 43.0%로 나타나 일본 내 상황변화에 따라 절반 이상의 기업이 피해권에 들 수 있음을 보여줬다.

업종별로는 항공운송과 관광교류에 직격탄을 맞은 ‘여행업’의 피해가 가장 컸으며 금속업종(對일본 수출감소), 전자·기계업종(부품조달 차질), 반도체(생산장비 수입차질) 등의 업종도 일본지진에 따른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피해유형으로는 현재 피해가 발생한 기업의 경우 ‘일본지역 수출·매출 차질’(58.3%)을 꼽았고, 장기화시 피해를 예상한 기업들은 ‘부품소재 조달 차질’(50.6%)을 꼽았다.

일본과 거래 중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일본거래처의 피해현황을 물은 결과, 절반(45.4%)에 가까운 기업들이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으며, 주로 송전제한, 물류난 등의 생산차질(27.1%)이나 생산중단(18.3%)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상당수 국내 기업들은 수입선 전환 등의 특별한 대응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74.4%의 응답기업들은 ‘별도의 대응활동 없이 사태 주시 중’이라고 답했으며, ‘안전점검활동 강화’(11.4%), ‘대체 수입선이나 수출선 모색’(11.1%) 등을 하고 있다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일본 대지진이 장기화될 경우의 후폭풍에 대해 응답기업들은 ‘글로벌 경기 침체’(65.0%), ‘일본과의 교역차질 장기화’(29.8%), ‘국내 소비심리 위축’(4.7%) 등을 꼽았다.

상의는 우리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내외 대체거래선 알선 △납품차질 관련 법률분쟁 상담·지원 △금융권 대출금 상환 연장 △피해신고·대응 종합지원센터 운영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 피해복구를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기업들이 10곳 중 6곳으로 나타나 산업협력 파트너로서의 일본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지원방안을 검토 중인 기업이 52.0%, 이미 지원계획이 있다는 기업이 12.3%였다. <지원의향 없다 35.7%> 지원방식으로는 ‘성금전달 등 금전지원’(21.6%), 인력지원(13.5%), 물품지원(2.7%) 순으로 응답했으며 나머지 62.2%는 아직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일본 지진으로 인한 국내기업의 피해가 아직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원전사고 심화 등 사태가 장기화되면 생산과 수출차질 등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일본과 거래가 끊긴 기업들을 지원할 종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이어 ”많은 기업들이 일본 지원의향을 갖고 있는 만큼 전국상의 차원에서 일본과 거래관계가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피해복구 지원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