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이 밝히고 “안보·재난 등 국가위기 관련 유관부처나 기관의 실장급 공무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올 1월1일 국가위기관리실을 신설한 뒤, 국무총리실과 함께 3개월 간 국가위기관리 업무체계 개선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왔다.
김 대변인은 “오늘 회의에선 그동안의 TF 활동 결과를 전 부처와 공유하기 위해 발표하고 함께 토의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국가위기관리 체계의 효과적 운용 및 강화, 그리고 전 부처 및 기관 간의 긴밀한 협조와 원활한 소통을 위해 업무수행 체계도 함께 점검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선 최근 일본 대지진 등과 관련, 재난대비 차원에서 진행 중인 소관 법령 및 매뉴얼 정비 진행상황도 함께 점검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어제(22일) 열린 국무회의에서도 일본 대지진 계기 국가방재시스템 점검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종합 토론이 있었고, 그 내용 가운데 하나가 복합 재난에 대비한 통합대응체계 강화였다"며 "지진, 해일 등이 복합적으로 일어났을 경우 의사결정 기구의 신속한 결정과 중앙대책본부 구성, 사고수습 관련 매뉴얼 구체화 등 각 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