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을 거점으로 하고 있는 제품생산 공장들은 야간 및 휴일을 활용하거나 자체발전기를 가동해 조업 재개에 나서고 있다.
일본 후지츠는 계획정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야간 시간을 이용해 지난 16일부터 도치기현 나스(那須) 공장의 조업을 재개했다.
또한 휴일을 반납하면서까지 조업을 재개하려는 기업도 있다. 보통 휴일의 경우 가동을 중단하지만 다이쇼(大正)제약의 오오미야(大宮) 공장과 하뉴(羽生) 공장은 지진사태 이후 줄었던 생산량을 보충하느라 지난 21일까지였던 3일 연휴기간 공장을 가동했다. 다이쇼 제약은 오는 26~27일 주말도 공장을 돌릴 계획이다.
고베제강소의 모카(真岡)제조소는 다른 사업소로부터 수십대의 발전기를 조달받아 마련한 비상용 전력을 이용해 지난 18일부터 조업을 재개했다.
하지만 계획정전으로 인해 품질에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공장들은 어쩔 수 없이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
미츠이금속은 스마트폰의 회로기판을 생산해온 아게오(上尾)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고, 후루카와(古河)전기공장도 리튬이온전지를 제조하는 이마이시 공장의 조업을 같은 이유로 중지시켰다. 생산 재개는 계획정전이 종료된 뒤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시멘트 공장도 마찬가지다. 시멘트 공장은 섭씨 1500도의 온도로 석탄석 등의 원료를 구워야 하기 때문에 정전으로 설비의 온도가 내려가면 품질에 결함이 생기기 때문이다.
정전대상지역에 2곳의 공장을 운영하는 태평양시멘트는 "정전이 1시간 이내라면 기다릴 수 있겠지만 3시간이나 설비를 일시중지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을 깎아내리는 일"이라고 밝혔다.
일본 제조업계에서는 전력부족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총량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총량규제는 전력 사용량이 많은 사업자별로 사용 상한제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전력공급을 중단하는 계획정전과 달리 총량규제는 기업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도 혹서기인 여름철에 심각한 전력부족이 우려되고 있는 만큼 총량규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일본 최대 전력회사인 도쿄전력은 전날 대지진으로 후쿠시마(福島)현과 이바라키(茨城)현에 있는 대규모 화력발전소가 파괴됐고,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까지 겹쳐 전력 생산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계획정전이 올 겨울까지 지속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