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홍콩 프린스에드워드 지역의 한 일본 제품가게 앞에 수백명이 분유를 사기 위해 줄을 서는 진풍경이 그려졌다.
이 가게는 폭발적으로 분유 수요가 늘자 개인당 분유 매입 가능 개수를 8캔들이 한 박스로 제한하는 조치를 마련했다. 유아동 유동식 수입업체인 애너폴리인터내셔널 또한 소비량을 한정했다.
홍콩에서는 일본 지진 및 원전사태가 일어나기 전에도 일본 분유는 뇌 발달과 눈에 좋다는 인식 덕분에 인기가 높은 편이었다.
라이 텅 쿽 홍콩 보안당국 차관은 “일본 수입 식품이 전체 시장에서 3%만 차지하는 반면 일본에서 수입해온 유아용 유동식 제품의 점유율은 2008년 8%에서 최근 15%까지 올라갔다”고 밝혔다.
홍콩소비자위원회는 방사능 누출에 대해 우려하는 부모들에 의한 사재기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으며 판매자들은 고의적으로 공급을 제한하거나 분유가격을 올리는 등 상황을 부당하게 이용하지 말 것을 경고했다.
그러나 부모들은 회사에도 늦게 출근 하는 등 공급 부족상황에 대비하고 있으며 가게들은 1인당 소비량을 제한하고 있다. 두 아이의 아버지인 홍콩의 에드먼드 찬씨는 “특별히 방사능에 대해 걱정하고 있지 않지만 다른 사람들이 사재기를 해 분유를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사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분유를 사기 위해 새벽 6시부터 가게 앞에서 줄을 섰다.
룽 이사는 “소비자들이 분유를 사기위해 1283달러(약 142만원) 정도의 큰 계약금을 걸고 있지만 일본 공급업체들이 물류 수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수급 차질 우려에 고객들의 제안을 거절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