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최근 일본에서 강원도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되는 극미량의 방사성 제논(Xe)이 검출됐다고 밝혔지만, 기상청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반론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28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강원도에서 검출된 방사성 제논이 일본 원전에서 날라온 것으로 결론내린 데 대해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면서 "바람의 흐름으로 볼 때 가능성이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원전사고 직후 캄차카반도 부근에 저기압이 형성돼 방사성 물질이 자연스럽게 기류를 타고 확산할 수는 있지만 캄차카반도를 지나 더 이상 가기는 어렵다"면서 "KINS의 '17일 연속 배출'이란 가정 자체가 지나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KINS가 이동의 매개로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방사성 물질을 나를 수 있는 유력한 바람인 편서풍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도 2~3주가 걸려 만약 한반도에 방사성 물질을 나른다고 해도 도착여부가 현재 명확하지 않은 상태라는 것.
KINS는 일본에서 원전사고 직후부터 계속 방사성 물질이 뿜어져 나왔다고 가정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렸지만 기상청에서는 일본 현지의 사고 추이를 감안해 2일(48시간) 정도 유출된 것을 가정해 예측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만약 KINS의 가정대로라면 중국이나 한반도 일부가 아닌 북반구 전체에 미량도 아닌 상당량의 방사성 물질이 퍼졌어야 한다"면서 "강원도에서 검출된 물질은 일본에서 날아든 것이 아닐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KINS는 이번에 검출된 제논이 동위원소 조성비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된 것이 거의 확실한 것으로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