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쌀농사 소득률·순수익률 역대 최저

논벼(쌀) 생산량 추이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지난해 벼농사 소득률과 순수익률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논벼 기준 10a(302.5평)당 총수입은 82만2229원으로 전년보다 12.9%(94만4438원) 감소했다.

총수입에서 경영비를 뺀 10a(302.5평)당 소득은 43만4162원으로 전년보다 21.0%(11만5150원) 줄었다.

소득률도 같은 기간 58.2%에서 52.8%로 낮아졌다. 이는 논벼 1000원 어치를 팔았을 때 노동비용 등 실제 들어가지 않은 비용을 제외하고 벌어들인 돈이 528원이라는 뜻으로 통계청이 관련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66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총수입에서 생산비(경영비+자가노동비+토지용역비+자본용역비)를 뺀 10a당 순수익도 31만9468원에서 20만7890원으로 34.9%(11만1578원) 줄었다.

임차료 수익률도 33.8%에서 25.3%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는 논벼 1000원 어치를 팔았을 때 비료 및 농약비·종묘비·농구비·노동비·토지 임차비 등 각종 생산비를 제외하고 농가가 번 액수가 253원이라는 걸 의미한다.

순수익률은 1966년(24.0%)과 사상 최악의 흉년으로 기록된 1980년(18.0%)에 이어 세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같은 면적을 기준으로 했을때 쌀 생산량이 감소하면 상대적으로 생산비가 늘어난다”며 “하지만 재고량이 증가하면서 쌀 가격은 오히려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쌀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감소한데다 기상 악화까지 겹치면서 1980년 이래 가장 적은 429만톤(t)으로 떨어졌다.

10a당 쌀 생산량도 2009년 534㎏에서 지난해 483㎏으로 9.6% 감소해 1가마니(80㎏)당 쌀 생산비는 9만8413원으로 전년보다 8.4% 늘었다.

게다가 2008~2009년 2년 연속 풍년이 들어 쌀농사의 수익성을 떨어뜨렸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의 미곡 기준 농가판매가격지수는 2005년을 100으로 봤을 때 2009년 97.7에서 2010년 90.4로 1년새 7.3포인트나 떨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