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향후20년간 서울이 지향해야 할 도시발전방향을 담은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5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 2009년 도시기본계획 승인권한이 정부에서 지방으로 이양된 후 지자체가 자율권을 가지고 처음으로 수립한 계획이다.
기존 2020 도시기본계획이 상암·용산 등 부도심 육성, 강남북 균형발전 등 개발·성장시대 도시 문제점에 대한 '치유와 회복'에 주력했다면 2030계획에선 20년 후 서울의 미래상을 '살기 좋은 글로벌 녹색 서울'로 정하고 그 방향을 제시했다.
앞으로 서울은 도심과 강남 중심 발전에서 영등포라는 금융허브가 새롭게 추가돼 3핵시대로 변모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3핵에 외국기업을 유치하고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글로벌 업무환경을 집중 개선하는 한편, 인천 경제자유구역 등 수도권 경제중심지와 연계하도록 지원해 명실상부한 수도권 경제중심축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용산, 청량리·왕십, 암사·수색을 '3부핵'으로 지원한다. 더불어 도심과 부도심 개념은 사라지고 수도권 차원의 상호협력 도시계획체계를 강화한다.
과거 도식과 부도심에서 담당했던 도시서비스기능은 8개 광역 연계거점(창동·상계, 망우, 천호, 문정·장지, 사당, 대림·가리봉, 마곡, 연신내·불광)과 5개 지역거점(미아, 신촌, 공덕, 목동, 잠실)등을 중심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8개 광역연계거점이 수도권 배후도시와 연계될 수 있도록 고용기반과 광역 환승기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시는 도시기본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각종 공간 시책을 모니터링을 하고, 조정체계를 강화했다. 또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을 연결하는 권역별계획수립단계를 추가해 종전 2단계 도시계획체계를 3단계로 보완했다.
이번 계획은 향후 관련기관과의 협의와 공청회, 자치구와 시의회의 의견 청취를 거쳐 수정 보완해 6월 경에 확정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웃 지자체들과 공유하고 협력하는 메가시티 도시계획체제를 통해 세계 대도시권 경쟁시대에 대비하고, 광역거점 육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 균형발전 실현의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