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은 7일 브리핑에서“여러 관측에서 남쪽으로부터 우리나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고 예상한 시간대에 오히려 방사성 물질이 줄거나 검출되지 않아 이 기류로 직접 유입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제주 측정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일 오후 6~9시 채취한 공기에서는 방사성 요오드와 세슘(Cs-137, Cs-134)의 농도가 1.05~1.86mBq/㎥였지만, 비가 내린 뒤 7일 오전 6시까지의 농도는 0.385~0.580mBq/㎥으로 낮아졌다.
더구나 7일 오전 6시 이후로는 아예 제주 지역에서 요오드나 세슘이 검출되지 않고 있다.
윤 원장은 전국 측정소의 요오드·세슘 농도 추이와 관련 “분명히 늘어난 곳도 있지만, 줄어든 곳도 있기 때문에 어느 쪽에 관점을 두고 평가할 수가 없고 극미량 상태에서는 이런 정도의 증가나 감소로 전국적 추이를 찾아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