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번 개편안은 본청에 자유무역협정(FTA)집행기획관(고위공무원)과 2담당관을 신설하고, 서울세관 3課, 부산·인천세관 각 1課, 대구·광주·평택세관 4係를 신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신설되는 FTA집행조직에는 184명이 배치되며 순수 증원 인력 47명(25%)을 제외한 137명은 업무칸막이 제거, 행정인력 슬림화 등 전청 차원의 조직․인력 효율화를 통해 자체 인력으로 충원된다.
관세청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우리 수출기업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FTA에 대한 정보와 관세청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 현재 30%미만인 우리나라 FTA 활용률을 향후 3년 이내에 2배 이상 제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우리 기업이 한·EU 및 한·미 FTA 발효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우리상품의 대외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증가와 일자리 창출 등 경제효과 달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관세청은 전망했다.
이밖에도 세관의 자유무역협정과는 원산지 인증수출자 지정, 원산지증명서 발급 및 국내·외 원산지검증 업무를 수행하고, 중소기업의 FTA활용 지원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실시와 애로·고충 해소를 위한 상담업무를 맡게 된다.
윤 청장은 “이번 조직개편안에 따라 충실한 FTA 대비가 가능해졌고, 인력도 관세청의 인력 효율화를 통해 보강한 모범적인 조직개편안”이며“특히, 중소 수출기업의 FTA활용 지원에 박차를 가해 관세청이 무역 1조달러 시대를 견인하는 주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