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규장각 도서…145년만에 고국 품으로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외규장각 도서 297권 가운데 1차분 80여권이 14일 마침내 한국에 돌아온다.

13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프랑스가 강탈해간 외규장각 도서 297권 가운데 80여권이 145년 만에 고국 품에 돌아온다.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강탈해간 외규장각 도서가 우리에게 돌아오기 까지 과정은 길고 험난하기만 했다.

외규장각은 그동안 한국과 프랑스간 외교관계에서 중요한 문제중 하나였다.

1975년 박병선 재불(在佛) 역사학자가 파리 국립도서관에서 외규장각 도서를 처음 발견한 뒤 1991년 서울대가 외규장각 도서 반환을 정부에 요청하면서 이 싸움은 시작됐다.

1993년 9월 프랑수아 미테랑 당시 프랑스 대통령이 방한, 휘경원원소도감의궤 1권을 돌려주고 정상회담에서 ‘상호교류와 대여’의 원칙에 합의하면서 쉽게 해결되는듯 했지만 협상은 곧바로 난항에 부딪혔다.

한국 정부는 국내 여론 등을 감안, ‘영구대여’ 방식으로 반환받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강탈한 문화재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로서는 선례를 남길 경우 다른 나라의 요구를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 정부는 2001년 외규장각 도서를 임대 형식으로 돌려받는 대신 국내 다른 문화재를 주는 ‘맞교환 방식’에 잠정 합의했다가 국내 여론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후 니콜라 사르코지 현 프랑스 대통령이 2007년 취임한 뒤 프랑스 측의 태도가 적극적으로 바뀌면서 돌파구를 찾았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한국과 외교관계를 발전시키려면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수 없다고 판단한 것.

지난해 한국 정부도 ‘영구대여’라는 용어를 포기하고 ‘일반대여’ 방식을 추진하면서 협상은 급물살을 탔다.

프랑스가 국내법상 문화재 반출에 ‘영구대여’라는 표현을 쓸 수 없는 점을 정부가 반영한 것이다.

정부는 실용적 관점에서 대여 형식에 크게 집착하지 않았고 사르코지 대통령 재임기간이 도서를 돌려받을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사르코지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외규장각 도서를 5년 단위 대여갱신 방식으로 한국에 돌려주기로 합의했다.

이후 프랑스내 반대 여론과 외규장각 도서의 디지털화 작업으로 실무협상이 더디게 진행되긴 했지만 지난 2월 양국 정부가 올해 5월31일까지 반환을 마무리하기로 합의하면서 기나긴 줄다리기는 마침표를 찍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