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본부장은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언론 간담회를 갖고 "위에서 결정을 내릴 때까지 제 직분을 다해야겠지만, 책임지라면 책임지겠다"며 "죄질이 크다고 하면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는 이날 한미 FTA 비준안에서도 번역 오류가 드러난 것과 관련해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 해임을 요구한 후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그는 사퇴 여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비준동의안 처리에 도움이 된다면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못할 것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EU FTA 비준동의안이 국회에서 조속히 처리돼야 한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었다.
김 본부장은 "번역 오류 때문에 (비준동의안 처리가) 늦어진다면 중대한 실수를 하는 것"이라며 "두달 동안 찾을 만큼 찾고 고칠 만큼 고쳤으며, 이제는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지금껏 나온 오류들이 협정문의 실질적 내용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착오를 바로잡는 '정정'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에 비춰보면 결정을 미룰 이유가 없다고 그는 밝혔다.
한·미 FTA 번역 오류에 대해서는 "현재 재검독 작업을 진행 중이며 나중에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며 "번역 오류가 많다면 기존안을 철회하고 국회에 재상정할 수 있겠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인도와 일본 등도 EU와의 FTA 체결을 서두르고 있는 만큼 우리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며 "일본산 부품의 수입 다변화, 거대시장 확보 등의 다양한 이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